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내무증[萊蕪甑] ~ 내복[萊服] ~ 내빈삼천[騋牝三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10  

내무증[萊蕪甑] 생활이 청빈(淸貧)한 것을 말한다. () 나라 때 범염(范冉)은 자가 사운(史雲)으로, 내무현(萊蕪縣)의 장()이 되었다가 뒤에 당인(黨人)의 금고(禁錮)에 걸려 생활이 아주 청빈하였는데, 궁하게 살면서도 태연자약하였으며, 말과 용모가 조금도 바뀌지 않았다. 이에 당시 사람들이 노래하기를 시루에 먼지가 이는 범사운이요, 솥에 고기가 사는 범 내무이네[甑中生塵范史雲 釜中生魚范萊蕪].”라 하였다. <後漢書 獨行傳 范冉>

내미[內美] 주자집주(朱子集註)生得日月之良 是天賦我美質於內也라고 보인다.

내복[內服] 왕기(王畿) 이내의 지방으로, 중국 본토를 말한다.

내복[萊服] 춘추 시대 초() 나라 노래자(老萊子)가 나이 70에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하여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떨었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初學記 卷17>

내부[萊婦] 주대(周代)에 초()의 은사(隱士) 노래자(老萊子)의 아내인데, 자신의 아내를 낮춰서 일컫는 말로도 쓰인다.

내빈삼천[騋牝三千] 시경(詩經) 정지방중(定之方中)사람의 마음가짐 성실할 뿐만이 아닌지라, 우람한 말 삼천 마리 들어찼도다.[匪直也人 秉心塞淵 騋牝三千]”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745 화벽[和璧]~화병[畫餠]~화보[花譜]~화복동문[禍福同門]~화복무문[禍福無門] 2417
4744 무사[蕪史] ~ 무사시폐훈[無邪詩蔽訓] ~ 무사주시[無邪周詩] 2420
4743 병사[甁史] ~ 병사지야[兵死之也] ~ 병상여[病相如] 2420
4742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423
4741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2424
4740 청필[淸蹕] ~ 청필삼성[淸蹕三聲] ~ 청한자[淸寒子] 2426
4739 녹마불변[鹿馬不辨] ~ 녹마전대[鹿馬專對] ~ 녹명시[鹿鳴詩] 2430
4738 복백[復魄] ~ 복비[宓妃] ~ 복비죄[服誹罪] 2431
4737 일제[日躋] ~ 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 일주관[一柱觀] 2431
4736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31
4735 농수[隴水] ~ 농승[聾丞] ~ 농암집[農巖集] 2432
4734 사도[師道] ~ 사도운[謝道韞] ~ 사돈팔촌[査頓八寸] 243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