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두백전[杖頭百錢] ~ 장득아손유로분[長得兒孫有老盆]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41  
♞장두백전[杖頭百錢]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외출할 때면 언제나 지팡이 끝에다 백 전씩을 걸고 나가서 주점(酒店)에 이르러 혼자 즐기며 마셨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장두유사공방신[杖頭唯事孔方神] 지팡이에 돈을 걸고 다닌다는 뜻으로, 술값을 말한다. 공방신은 전신(錢神)으로, 돈을 해학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항상 지팡이 끝에다가 돈 백전(百錢)을 걸고 걸어다니다가 술집이 보이면 그 돈으로 혼자서 술을 마셔 취하였다. <晉書 卷49 阮脩列傳>
♞장두전[杖頭錢] 장두백전(杖頭百錢)의 준말로, 지팡이에 걸린 돈이란 뜻으로, 술값을 말한다.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항상 지팡이 끝에다가 돈 백전(百錢)을 걸고 다니다가 술집이 보이면 그 돈으로 혼자서 술을 마시고는 취하였다. <晉書 卷49 阮籍列傳 阮脩>
♞장두체[藏頭體] 일부러 주어(主語)를 생략하고 짓는 문체를 말한다.
♞장득아손유로분[長得兒孫有老盆] 두보(杜甫)의 시(詩)에, “전가(田家)의 오래된 와분(瓦盆)을 웃지 말라. 술을 담기 시작한 뒤 아손(兒孫)들을 길러 냈네[莫笑田家老瓦盆 自從盛酒長兒孫].”라는 구절이 있다. 이것은 도기(陶器)로 된 술동이가 손자를 길러 내도록 오래 되었다는 뜻이 여기서는 아마 시경(詩經)에 나온, “딸을 낳았을 때에 기와를 희롱한다[弄瓦].”는 것을 인용한 듯하다.
 
 



번호 제     목 조회
5153 추곡[推轂] ~ 추기급인[推己及人] 5265
5152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264
5151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263
5150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5260
5149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258
5148 자형[子荊] ~ 자형화[紫荊花] 5256
5147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256
5146 범장소거[范張素車] ~ 범조[凡鳥] 5254
5145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5252
5144 적공빈부[翟公貧富] ~ 적궤[弔詭] 5250
5143 적선[謫仙] ~ 적선천상인[謫仙天上人] 5250
5142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25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