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대연[大衍] ~ 대연수[大衍數] ~ 대연오십[大衍五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00  

대연[大衍] 주역(周易) 계사 상(繫辭上), 대연의 수는 50이다[大衍之數五十]. 하였는데, 이는 설시(揲蓍)의 법을 말한 것이다. 주역(周易)으로 점칠 때 서죽(筮竹)의 수()가 원래 50개이다.

대연[代燕] 중국의 지명이다. 즉 대주(代州)와 연주(燕州)를 가리킨다.

대연력[大衍曆] 당 현종 13(722)에 고승(高僧)인 일행(一行)이 만든 역법(曆法)이다. 그 명칭은 주역(周易) 계사상(繫辭上)大衍之數五十…….”이라고 한 데서 취했다 한다. <·舊唐書 曆志>

대연수[大衍數] 천지간의 만물을 상징하는 50의 숫자를 말한다. 1, 3, 5, 7, 9의 홀수를 합한 천수(天數) 25, 2, 4, 6, 8, 10의 짝수를 합한 지수(地數) 30이 한데 모여 55를 이루는데, 여기에서 대수(大數) 50을 거론하여 만물을 연출해 내는 수로 삼았으므로, 이를 대연수라고 한다. <周易 繫辭傳上>

대연영춘[戴燕迎春] 옛날 입춘일(立春日)에는 모두 채단을 오려서 제비를 만들어 머리에 이고서 봄을 맞이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荊楚歲時記>

대연오십[大衍五十] 대연수란 천수(天數) 25와 지수(地數) 30을 합친 55에서 그 대수(大數) 50을 말한 것인데, 실제로 점을 칠 때에는 이 50에서 다시 하나를 빼고 49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음을 이른 말이다. <周易 繫辭>

 

 



번호 제     목 조회
65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5537
64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5539
63 자지[紫芝] ~ 자지가[紫芝歌] ~ 자지곡[紫芝曲] 5546
62 염해[拈解] ~ 염화미소[拈華微笑] ~ 염화시중[拈華示衆] 5553
61 가교[駕轎] ~ 가규[賈逵] ~ 가급인족[家給人足] 5557
60 장초[萇楚] ~ 장추[長楸] ~ 장추곡[將雛曲] 5558
59 중정인의공[中正仁義功] ~ 중주[中州] ~ 중채현주록[衆綵絢朱綠] 5562
58 중구삭금[衆口鑠金] ~ 중군[中軍] ~ 중궤[中饋] 5566
57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5568
56 죽루[竹樓] ~ 죽림우[竹林友] ~ 죽림현[竹林賢] 5572
55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5573
54 징사[徵士] ~ 징심지관[澄心止觀] ~ 징청지[澄淸志] 5585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