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武] ~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 무감유해주[無監有蟹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27  

♞ 무[碔] 옥 비슷한 돌인데, 간신을 비유한 말이다.

♞ 무[武] 은나라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을 토벌한 주무왕의 공을 기리기 위해 만든 춤곡이다.

♞ 무[畝] 전한 시대 이전의 1무는 지금의 약 60평에 해당한다. 즉 300무란 18,000평을 의미한다.

♞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중용(中庸)을 지키거나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옳다고 하는 것도 없고 옳지 않다는 것도 없다. 그것은 옳다고 하지 않고 또한 이것을 옳지 않다고 하지도 않는다. 즉 말하자면 하나의 입장을 고집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맞게 대처해 나가는 방법을 취한다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초야(草野)에 묻혀서 살아간 현자(賢者)들을 평(評)한 다음 “나는 이런 사람들과는 달리 그저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이니라”라고 덧붙였다.<논어(論語)> 이 말은 공자(孔子) 자신은 그들과 달라서 은둔생활(隱遁生活)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먼저 정한 후에 그런 생활에 들어갈 수는 없다는 뜻이다.

♞ 무감유해주[無監有蟹州] 진(晉) 나라 때 필탁(畢卓)이 술을 매우 좋아하고, 또 특히 게의 다리를 대단히 즐겨 먹었는데, 그가 이부랑(吏部郞)으로 있을 적에 한번은 술이 취하여 밤중에 이웃집의 술항아리 사이로 가서 술을 훔쳐 마시다가 술 관장하는 사람에게 포박되었다가 아침에야 이부랑 필탁임이 밝혀져 급히 포박을 풀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번호 제     목 조회
581 감찰[監察] ~ 감체[欿傺] 4796
580 상호[桑弧] ~ 상호지[桑弧志] 4797
579 거상[車箱] ~ 거서혼일[車書混一] 4797
578 연단[鉛丹] ~ 연단경[鍊丹經] ~ 연담노인[蓮潭老人] 4797
577 려[葛亮廬] ~ 갈불음도천수[渴不飮盜泉水] 4798
576 석고[石鼓] ~ 석곡[石谷] 4799
575 구진[句陳] ~ 구진[鉤陳] 4799
574 하과[夏課] ~ 하궤[荷簣] 4801
573 건강[乾綱] ~ 건계[建溪] 4802
572 사사건건[事事件件] ~ 사사오입[四捨五入] 4803
571 점마[點馬] ~ 점액용문[點額龍門] 4804
570 정호용[鼎湖龍] ~ 정호화금슬[靜好和琴瑟] 4804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