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武] ~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 무감유해주[無監有蟹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29  

♞ 무[碔] 옥 비슷한 돌인데, 간신을 비유한 말이다.

♞ 무[武] 은나라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을 토벌한 주무왕의 공을 기리기 위해 만든 춤곡이다.

♞ 무[畝] 전한 시대 이전의 1무는 지금의 약 60평에 해당한다. 즉 300무란 18,000평을 의미한다.

♞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중용(中庸)을 지키거나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옳다고 하는 것도 없고 옳지 않다는 것도 없다. 그것은 옳다고 하지 않고 또한 이것을 옳지 않다고 하지도 않는다. 즉 말하자면 하나의 입장을 고집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상황에 맞게 대처해 나가는 방법을 취한다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초야(草野)에 묻혀서 살아간 현자(賢者)들을 평(評)한 다음 “나는 이런 사람들과는 달리 그저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이니라”라고 덧붙였다.<논어(論語)> 이 말은 공자(孔子) 자신은 그들과 달라서 은둔생활(隱遁生活)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먼저 정한 후에 그런 생활에 들어갈 수는 없다는 뜻이다.

♞ 무감유해주[無監有蟹州] 진(晉) 나라 때 필탁(畢卓)이 술을 매우 좋아하고, 또 특히 게의 다리를 대단히 즐겨 먹었는데, 그가 이부랑(吏部郞)으로 있을 적에 한번은 술이 취하여 밤중에 이웃집의 술항아리 사이로 가서 술을 훔쳐 마시다가 술 관장하는 사람에게 포박되었다가 아침에야 이부랑 필탁임이 밝혀져 급히 포박을 풀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번호 제     목 조회
557 종사[從事] ~ 종산[鍾山] 4821
556 계루고[鷄婁鼓] ~ 계릉[桂陵] 4821
555 축록[逐鹿] ~ 축리접위구[逐利接爲構] 4822
554 원개벽[元凱癖] ~ 원객[園客] ~ 원거원처[爰居爰處] 4822
553 희수[喜壽] ~ 희신보[喜神譜] 4823
552 제량권애민[齊梁勸愛民] ~ 제량체[齊梁體] 4823
551 접리[接䍦] ~ 접석[接淅] 4823
550 축융[祝融] ~ 축일상제[逐日霜蹄] 4824
549 패방[牌坊] ~ 패수송경[浿水松京] 4824
548 구구사기직[瞿瞿思其職] ~ 구기[九畿] 4824
547 성호[星湖] ~ 성호사서[城狐社鼠] 4825
546 회창[會昌] ~ 회추[會推] 4829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