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발천진[發天眞] ~ 발하[拔河] ~ 발해군[勃海郡]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76  

발천진[發天眞] 개성이 독특한 훌륭한 시문이 나오리라는 뜻이다. 천진(天眞)은 하늘에서 독자적으로 부여받은 순수한 성품을 말한다.

발청수적[拔靑樹赤] () 나라 때 한신(韓信)이 정경구(井陘口)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조() 나라 성()에 꽂힌 기()를 뽑아 버리고 한 나라의 붉은 기를 세운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九十二>

발췌초록[拔萃抄錄] 많은 것 속에서 뛰어난 것을 뽑아 따로 초하여 둔 것. 여럿 가운데 뛰어난 것을 뽑아 간단히 적어 둔 것.

발하[拔河] 유희(遊戲)의 일종인 줄다리기를 말한다. 당 중종(唐中宗) 때에 궁녀(宮女)들이 하였던 놀이로서, 즉 삼[]으로 꼰 큰 동아줄의 양쪽 끝에다 각각 10여 줄의 작은 새끼줄을 매고 줄 하나마다 서너 명씩이 잡아당기되, 힘이 약해 끌려간 쪽이 진다고 한다. <唐書 中宗紀>

발한호[潑寒胡] 서역(西域)에서 전해온 무희(舞戲)의 일종으로, 대단히 추운 때에 소년(少年)들이 발가벗은 몸으로 대열을 지어 춤을 추면서 서로 찬물을 끼얹는 놀이인데, 중국에서는 당 무후(唐武后) 말년에 시작되었다 한다. <唐書 張說傳>

발해검우[渤海劍牛] 한 선제(漢宣帝) 때에 공수(龔遂)가 발해 태수(渤海太守)로 나가서 농사에 태만한 그곳 백성들에게 칼을 팔아 소를 사도록 하여 농사를 적극 권장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漢書 卷八十九>

발해군[勃海郡] 지금의 하북성 창현(滄縣) 일대이다. 한고조 유방이 기원전 202년에 거록(巨鹿)과 제북(濟北)의 땅 일부를 떼내어 발해군을 세우고 부양(浮陽)에 그 치소를 두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649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16
4648 병경치뢰[甁罄恥罍] ~ 병두국[幷頭菊] ~ 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2516
4647 양미[揚眉] ~ 양반아[楊叛兒] ~ 양방사[兩牓士] 2516
4646 융의[戎衣] ~ 융준공[隆準公] ~ 융중[隆中] 2516
4645 이연[貽燕] ~ 이영[李穎] ~ 이오[夷吾] 2516
4644 방편[方便] ~ 방향[方響] ~ 방현로[妨賢路] 2519
4643 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 ~ 아군환서[鵝群換書] ~ 아금[牙琴] 2519
4642 무성취[無聲臭] ~ 무성현단[武城絃斷] ~ 무수지정[舞獸之庭] 2520
4641 내의무[萊衣舞] ~ 내의지덕[來儀之德] ~ 내정채복[萊庭綵服] 2521
4640 수수방관[袖手傍觀] ~ 수숙빈교의[嫂叔貧交誼] ~ 수식태평연제력[誰識太平緣帝力] 2522
4639 석주[石洲] ~ 석지[石砥] ~ 석참충빙루[昔慚蟲氷陋] 2523
4638 창업수성[創業守成] ~ 창여창구백여의[蒼如蒼狗白如衣] ~ 창오제[蒼梧帝] 252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