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각곡[刻鵠] ~ 각곡유목[刻鵠類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7,669  
♞각곡[刻鵠] 따오기는 새기다가 제대로 안 되더라도 비슷한 집오리 정도는 된다는 뜻으로, 용백고(龍伯高)는 사람됨이 중후하고 빈틈이 없고, 두계량(杜季良)은 호협한 의기 남아였는데, 한(漢)의 마원(馬援)이 자기 조카들을 경계하면서 이르기를, “용백고를 본받다가 그대로 안 되더라도 조심성 있는 선비는 될 수 있어 이른바, 따오기를 새기다가 제대로 안 되더라도 집오리 정도는 된다.”하였다. <小學 外篇 嘉言>
♞각곡백고[刻鵠伯高] 백고(伯高)는 후한 때 용술(龍述)의 자인데, 마원(馬援)이 자기 형의 아들인 엄(嚴)․돈(敦)에게 경계한 글에 “백고를 본받다가 되지 않더라도 오히려 신중하고 단정한 선비가 될 것이니, 이른바 고니를 새기다 이루지 못하더라도 오히려 따오기는 닮을 수 있다는 것이다.”한 데서 온 말이다.
♞각곡불류곡[刻鵠不類鵠] 학문과 기예의 성취가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마원(馬援)이 조카인 엄돈(嚴敦)을 훈계하면서, “고니를 그리다 보면 오리와 비슷하게라도 되겠지만, 호랑이를 잘못 그리면 거꾸로 개처럼 되기 십상이다.[刻鵠不成尙類鶩 畫虎不成反類狗]”라고 한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馬援傳>
♞각곡불성[刻鵠不成] “고니를 새기다가[刻] 안 되어도 오히려 물오리와는 비슷하려니와, 범을 그리다가 안되면 도리어 개와 비슷하게 되느니라[刻鵠不成尙類鶩 畫虎不成反類狗].”라는 옛말이 있다.
♞각곡유목[刻鵠類鶩] 고니를 새기려고 하다가 집오리와 비슷하게 되었다. 본받으려다 실패해도 얻는 것이 있다는 뜻.
♞각곡유목[刻鵠類鶩] 고니를 조각하다가 이루어내지 못하고 집오리가 되었다. 높은 뜻을 갖고 어떤 일을 성취하려다가 중도에 그쳐 다른 사람의 조소를 받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