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봉옥[封屋] ~ 봉우진[封于秦] ~ 봉유족[封留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82  

봉옥[封屋] 임금의 교화가 사해에 두루 미쳐 풍속이 아름다워지니 집집마다 모두 덕행(德行)이 있어서 정표(旌表)할 만하다는 말이다.

봉요[蜂腰] 벌의 허리처럼 한 가운데가 가늘다는 뜻이다. 시를 지을 때 칠언시의 4번째 자가 평성(平聲)이고 그 앞뒤의 자가 측성(仄聲)인 경우 또는 오언시에 2번째 글자가 평성(平聲)이고 그 앞 뒤 자가 측성(仄聲)인 경우 허리가 짤록한 벌과 같다하여 봉요(蜂腰)라고 하며 이를 피한다.

봉우장집[鳳羽長戢] 군자(君子)가 출세(出世)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이다.

봉우진[封于秦] 진시황(秦始皇)이 태산(泰山)에 갔다가 비를 만나 소나무 밑에 피하고, 그 소나무를 대부(大夫)로 봉했다.

봉원[蓬原] 동래(東萊)의 별칭이다.

봉유[封留] 전한(前漢)의 공신(功臣) 장량(張良)이 유후(留侯)에 봉해진 것을 말한다. 한고조(漢高祖)가 천하를 평정한 뒤에 공신을 봉하면서 장량에게 제()나라 땅에 삼만 호(三萬戶)되는 지방을 마음대로 선택하게 하니, 그는 신이 처음 폐하(陛下)를 유()에서 만났으니 유후(留侯)로 봉하면 족합니다.”라 하였다.

봉유족[封留足] 한 고조(漢高祖)가 천하를 평정하고 나서 공신들을 봉()할 적에, 장량(張良)의 공이 가장 크다 하여 그에게 삼만호(三萬戶)를 봉해주려고 하자, 장량이 사양하여 말하기를 ()은 유() 땅에 봉해진 것만으로 만족하고, 삼만호는 감히 당치 않습니다.”라고 하여, 마침내 장량을 유후(留侯)로 봉해준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五十五>

 

 



번호 제     목 조회
665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494
664 백전[白戰] ~ 백전백승[百戰百勝] ~ 백전시[白戰詩] 2493
663 무복[誣服] ~ 무봉연우[無捧硯牛] ~ 무부잔기격장도[無復殘機激壯圖] 2492
662 역목[力牧] ~ 역복색[易服色] ~ 역부몽[役夫夢] 2492
661 이오가이리오국[利吾家而利吾國] ~ 이옹[伊翁] ~ 이완평[李完平] 2492
660 취전[聚羶] ~ 취처생자[娶妻生子] ~ 취탈화[醉脫靴] ~ 취포[吹布] 2492
659 요무성[了無聲] ~ 요봉문필[堯峯文筆] ~ 요부[堯夫] 2491
658 인정번수이[人情飜手異] ~ 인존정거[人存政擧] ~ 인중혹승[人衆或勝] 2490
657 상달[上達] ~ 상담[賞膽] ~ 상담한[湘潭恨] 2488
656 요행장원[僥倖壯元] ~ 요협[瑤莢] ~ 요환유이[瑤環瑜珥] 2487
655 단원[斷猿] ~ 단일서비미주륜[短日西飛未駐輪] ~ 단장군[檀將軍] 2486
654 열녀전[列女傳] ~ 열림[說霖] ~ 열반연[熱飯宴] 2485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