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80  

부량가[浮梁賈] []를 파는 장사꾼. 부량(浮梁)은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차가 많이 나는 곳이다. <唐書 食貨志>

부령[腐令] 한 무제(漢武帝) 때 이릉(李陵)을 변호하다가 무제의 노염을 사서 부형(腐刑 ; 宮刑)을 당한 태사령(太史令) 사마천(司馬遷)을 이른 말인데, 전하여 그가 저술한 사기(史記)를 말하기도 한다.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후한 때 곽하(郭賀)가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있으면서 대단히 선정(善政)을 베풀어 백성들이 노래를 지어서 그를 칭송하기까지 하였으므로, 현종(顯宗)이 순수(巡狩)차 그곳에 왔다가 그 사실을 듣고는 특별히 그에게 삼공복(三公服)과 면류관(冕旒冠)을 내리면서, 그로 하여금 부()를 순행할 때에 수레의 휘장을 다 걷어 그의 공복 입고 면류관 쓴 모습을 백성들이 보고 모두 영광스럽게 여기도록 하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二十六>

부릉[涪陵] 부릉은 파촉(巴蜀) 남쪽의 땅 이름이다.

부림[傅霖] () 고종(高宗)이 부열(傅說)을 상()으로 명()하며 했던 말이다. 세상을 건지고 백성에게 은택을 입히라는 말이다. 서경(書經) 열명상(說命上)고종(高宗)이 이르기를 만약에 가뭄이 들거든 너[傅說]를 써서 장마비[]를 내리게 하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고 하였다.”는 구절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793 외일[畏日] ~ 외장[外場] ~ 외판관[外判官] 2326
4792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29
4791 욕좌목후도사해[欲佐沐猴圖四海] ~ 욕청장영[欲請長纓] ~ 용가방[龍哥榜] 2334
4790 발거[拔去] ~ 발내포[鉢內布] ~ 발도[拔都] 2334
4789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37
4788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2337
4787 내공[乃公] ~ 내구붕[耐久朋] ~ 내농작[內農作] 2338
4786 방삭[方朔] ~ 방삭삼천독[方朔三千牘] ~ 방삭포삼도[方朔飽三桃] 2340
4785 원류[源流] ~ 원명[元明] ~ 원묘[原廟] 2340
4784 측조[側調] ~ 측천[則天] ~ 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2340
4783 비굉원우[碑轟元祐] ~ 비구절[臂九折] ~ 비극당위태[否極當爲泰] 2341
4782 사제동행[師弟同行] ~ 사제조슬[仕齊操瑟] ~ 사조[射潮] 234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