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채진[采眞]/채취생[彩翠生]/채침[蔡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59  
♞채진[采眞] 진실의 이치를 캔다는 뜻으로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古者謂是采眞之遊”라 하였다.
♞채진지유[采眞之遊]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소요(逍遙)의 뜨락에서 노닐고, 구간(苟簡)의 밭에서 먹고살며, 부대(不貸)의 구역에서 있나니, 소요면 무위(無爲)요 구간이면 이양(易養)이요 부대면 무출(無出)이라, 이를 일러 옛사람들이 채진지유(采眞之遊)라 하였다.”하였다.
♞채취생[彩翠生] 전국 시대 초(楚) 나라 시인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초왕(楚王)과 무산(巫山) 신녀(神女)의 연애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서로 작별할 적에 무산 신녀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를 내리면서 언제까지나 양대 아래에 있겠다.[旦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고 말했다는 기록이 전한다.<文選 卷19> 한편 당(唐) 나라 왕유(王維)의 시에 “비취빛이 때때로 분명도 한데, 저녁 산기운은 처소를 알 수 없네.[彩翠時分明 夕嵐無處所]”라는 표현이 있다. <王右丞集 卷13 木蘭柴>
♞채침[蔡沈] 채침은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주희(朱熹)의 제자였는데, 자기 아버지 원정이 당시 학자들이 잘 모르는 홍범(洪範)의 수(數)에 관하여 자기 혼자 깨닫고는 있었으나 미처 논저(論著)를 못하고는 이르기를, “내 뒤를 이어 내 학설을 완성시킬 사람은 침(沈)일 것이다.”하였고, 주희는 늘그막에 서경의 전(傳)을 쓰려다가 못하고 역시 채침에게 그 일을 부탁하였다.<宋史 卷四百三十四>
 
 



번호 제     목 조회
293 포고[布鼓] ~ 포관격탁[抱關擊柝] 5155
292 고반[考槃] ~ 고병[高棅] 5156
291 각저[刻著] ~ 각저희[角抵戱] 5157
290 쌍아탁곤[雙鵝坼坤] ~ 쌍운회문[雙韻廻文] 5158
289 패가대[覇家臺] ~ 패경[貝經] 5158
288 강서사[江西社] ~ 강설현상[絳雪玄霜] 모두 5158
287 하충[夏蟲] ~ 하침대무[河沈大巫] 5159
286 주우[周牛] ~ 주운선[酒運船] ~ 주운참녕[朱雲斬佞] 5162
285 풍성망두우[豐城望斗牛] ~ 풍성학려[風聲鶴唳] 5165
284 진조여[陳趙予] ~ 진종욕도자응미[塵蹤欲到自應迷] ~ 진주삼장사[晉州三壯士] 5165
283 계귀국[鷄貴國] ~ 계기삼락[啓期三樂] 5166
282 조양[潮陽] ~ 조양봉명[朝陽鳳鳴] 5167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