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상여굴진[相如屈秦] ~ 상여권유[相如倦遊] ~ 상여벽립[相如壁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70  

상여굴진[相如屈秦] 전국 시대 때 조() 나라 혜문왕(惠文王)이 초() 나라의 화씨벽(和氏璧)을 얻었는데, () 나라 소왕(昭王)이 이를 빼앗고자 하여 거짓으로 15개의 성()과 바꾸자고 하였다. 조 나라에서는 화씨벽만 빼앗기고 성은 얻지 못할까 염려하여 진 나라에 사신으로 갈 사람을 구하였는데, 인상여(藺相如)가 가게 되었다. 인상여는 진 나라에서 성을 주면 화씨벽을 진 나라에 줄 것이고, 성을 주지 않으면 화씨벽을 손상 없이 가지고 오겠다.”라 하고는 진 나라로 갔는데, 소왕이 화씨벽만 빼앗고 성을 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인상여는 화씨벽에 흠집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겠다고 하면서 화씨벽을 손에 잡고 말하기를 대왕이 성을 주지 않고 화씨벽을 빼앗으려고 하면 옥을 깨뜨려 버리겠다.”라고 하면서, 소왕에게 5일 동안을 재계(齋戒)하고서 받으라고 하였다. 소왕이 재계하는 사이에 인상여는 사람을 시켜서 몰래 화씨벽을 조 나라로 돌려보냈다. 소왕이 재계를 마친 뒤 화씨벽을 달라고 하자, 인상여는 화씨벽은 이미 조 나라로 보냈다. 진 나라에서 먼저 15개의 성을 주면 조 나라에서 화씨벽을 당장 돌려보낼 것이다.”라 하였다. 그 뒤에 인상여는 무사히 조 나라로 돌아왔으며, 진 나라에서는 화씨벽과 성을 바꾸지 않았다. <史記 卷81 藺相如列傳>

상여권유[相如倦遊] () 나라의 문인(文人), 사마상여(司馬相如). 그의 전기(傳記)노는 데 지쳤다[倦遊]”라는 말이 있다.

상여벽립[相如壁立]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임공(臨邛) 고을의 갑부인 탁왕손(卓王孫)의 딸 문군(文君)과 야합하여 함께 성도(成都)로 도망가서 살 때 매우 가난하여 살림살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한다. <史記 卷一百七十七 司馬相如傳>

 

 



번호 제     목 조회
521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2259
520 천불란[天拂亂] ~ 천붕지통[天崩之痛] ~ 천산괘궁[天山掛弓] 2259
519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258
518 척촌지효[尺寸知效] ~ 척확신[尺蠖伸] ~ 천가수[天假手] 2255
517 창망귀[悵忘歸] ~ 창방[唱榜] ~ 창승조[蒼蠅弔] 2254
516 여의쇄산호[如意碎珊瑚] ~ 여의여구[如衣如狗] ~ 여이석[厲以石] 2248
515 외설[猥褻] ~ 외시은[隗始恩] ~ 외우형산[猥芋衡山] 2248
514 운래억이간[雲來憶已看] ~ 운뢰교구오[雲雷交九五] ~ 운몽[雲夢] 2245
513 안유자손[安遺子孫] ~ 안이[顔異] ~ 안인한[安仁恨] 2244
512 복차지계[覆車之戒] ~ 복철지계[覆轍之戒] ~ 복파귀[伏波貴] 2242
511 천원지방[天圓地方] ~ 천월노[喘月勞] ~ 천유[穿窬] 2240
510 홍문[鴻門]~홍범구주[洪範九疇]~홍범수[洪範數]~홍벽천구[弘璧天球] 2234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