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선명[先鳴] ~ 선문비침[扇蚊飛枕] ~ 선미[璿楣]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95  

선명[先鳴] 먼저 공을 세워 두각을 나타냈다는 말이다. 춘추 시대 진() 나라 주작(州綽)이 제() 나라와의 평음(平陰) 싸움에서 식작(殖綽)과 곽최(郭最)보다 앞서서 성()에 올라 닭이 울듯 크게 소리쳤다[平陰之役 先二子鳴]는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春秋左傳 襄公 21>

선명도[蟬鳴稻] 올벼[早稻]의 별칭이다. 고려 때 이규보(李奎報)의 시()그 이름 어기지 않으려고 매미 우는 때를 기약했네. 눈으로 직접 새 곡식 보니 금년 일도 다했나 보구료[不欲負其名 趁得蟬鳴詩 眼見新穀升 今年事亦畢]”라고 하였다.

선모[旋毛] 말의 털결이 선회한 모양으로 된 것. 이아 주(爾雅 注)선모가 배 아래에 젖꼭지처럼 나면 천리마이다.”라 하였다.

선묘실록[宣廟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을 말한다. 선조수정실록은 광해군 때 북인(北人)인 기자헌(奇自獻),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하여 편찬된 선조실록의 내용이 공정치 못하다고 하여 인조 19년에 이식(李植)의 상소에 의하여 수정실록을 편찬하기로 결정하고 이식이 전담하여 편찬하였으나 이식이 다른 일로 파면되어 중단되었다. 그 뒤 효종 83월에 수정실록청을 설치하고 김육(金堉), 윤순지(尹順之), 이일상(李一相), 채유후(蔡裕後) 등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하여 그해 9월에 완성을 보았다.

선문[羨門] 옛 선인(仙人)으로 이름은 자고(子高)이다. 전한서(前漢書)시황(始皇)이 동으로 노닐면서 신선(神仙) 선문(羨門)의 무리를 구했다.”라 하였다.

선문비침[扇蚊飛枕] 후한(後漢)의 황향(黃香)이 아버지를 지극한 효도로 섬겨, 여름에는 잠자리에 부채질하여 드렸다 한 데서 온 말로, 아버지에게 효도하는 것을 말한다.

선문자[羨門子] 옛날 선인(仙人)인 선문자고(羨門子高)를 말하는데, 진 시황(秦始皇)이 일찍이 동해(東海)에 노닐면서 선인 선문의 무리를 찾았다 한다. <史記 秦始皇本紀>

선미[璿楣] 궁궐의 문미(門楣)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781 사제동행[師弟同行] ~ 사제조슬[仕齊操瑟] ~ 사조[射潮] 2343
4780 문원갈[文園渴] ~ 문원봉황곡[文園鳳凰曲] ~ 문원억매[文園憶梅] 2345
4779 대보[大寶] ~ 대부강복[大夫降服] ~ 대부작부등고지[大夫作賦登高地] 2347
4778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2360
4777 왕이[王李] ~ 왕일[王逸] ~ 왕일소[王逸少] 2364
4776 호마[胡麻]~호마호우[呼馬呼牛]~호모부가[毫毛斧柯]~호목[蒿目] 2364
4775 채석이백명[采石李白名] ~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 ~ 채수[綵樹] 2366
4774 환골법[換骨法]~환골탈태[換骨奪胎]~환과고독[鰥寡孤獨]~환궤[闤闠]~환규[桓圭] 2366
4773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2367
4772 화서국[華胥國]~화서지몽[華胥之夢]~화석[華席]~화석정[花石亭] 2367
4771 초성[楚聲] ~ 초소성지언[楚昭誠知言] ~ 초소유매[楚騷遺梅] 2370
4770 동공원자건[董公元自健] ~ 동공이곡[同工異曲] ~ 동곽지랑[東郭之良] 2371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