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숙수[菽水] ~ 숙식[熟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87  
♞숙수[菽水] 자로(子路)가 집안이 빈한해서 어버이에 대한 효도(孝道)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탄식을 하자, 공자가 “콩죽을 쑤어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린다면 그것이 효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고 위로했던 고사가 있다. <禮記 檀弓下>
♞숙수락[菽水樂] 콩죽을 먹고 물을 마시는[啜菽飮水] 빈사(貧士)의 생활 가운데에서도 어버이를 즐겁게 해 드리려는 아들의 극진한 효(孝)를 받았다는 말이다. <禮記 檀弓下部>
♞숙수지공[菽水之供] 가난한 중에도 부모를 잘 섬기는 일을 말한다.
♞숙수환[菽水歡] 숙수는 콩과 물로서 매우 박식(薄食)이므로, 숙수의 즐거움이란 곧 가난한 중에도 부모를 잘 봉양하여 기쁘게 해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콩죽을 쑤어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그 속에서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는 것이 바로 효도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는 공자(孔子)의 말이 실려 있다.
♞숙숙[淑淑] 아름다운 모양, 물이 깊은 모양, 물이 맑게 괴어 있는 모양이다.
♞숙숙[宿宿] 이틀 밤을 묵음, 종종걸음으로 걷는 모양이다.
♞숙식[熟食] 한식일(寒食日)의 별칭이다. 한식일에는 불을 금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전일에 음식을 익혀 두었다가 이날 찬 음식으로 먹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269 갈건[葛巾] ~ 갈고최[羯鼓催] 5182
268 향안[香案] ~ 향원덕지적[鄕愿德之賊] 5183
267 숙수[菽水] ~ 숙식[熟食] 5188
266 십주삼도[十洲三島] ~ 십팔공[十八公] 5190
265 취검[炊劒] ~ 취굴주[聚窟洲] 5193
264 풍운표도[風雲豹韜] ~ 풍월주인[風月主人] 5193
263 여불위[呂不韋] ~ 여붕우교이불신호[與朋友交而不信乎] 5195
262 장영사계노추두[長纓思繫老酋頭] ~ 장오[檣烏] ~ 장왕[長往] 5195
261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197
260 단사[丹砂] ~ 단사군[丹砂郡] 5199
259 죽각[竹閣] ~ 죽계육일[竹溪六逸] ~ 죽고[粥鼓] 5199
258 추형[秋螢] ~ 추획사[錐劃沙] 520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