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숙수[菽水] ~ 숙식[熟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3  
♞숙수[菽水] 자로(子路)가 집안이 빈한해서 어버이에 대한 효도(孝道)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탄식을 하자, 공자가 “콩죽을 쑤어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린다면 그것이 효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고 위로했던 고사가 있다. <禮記 檀弓下>
♞숙수락[菽水樂] 콩죽을 먹고 물을 마시는[啜菽飮水] 빈사(貧士)의 생활 가운데에서도 어버이를 즐겁게 해 드리려는 아들의 극진한 효(孝)를 받았다는 말이다. <禮記 檀弓下部>
♞숙수지공[菽水之供] 가난한 중에도 부모를 잘 섬기는 일을 말한다.
♞숙수환[菽水歡] 숙수는 콩과 물로서 매우 박식(薄食)이므로, 숙수의 즐거움이란 곧 가난한 중에도 부모를 잘 봉양하여 기쁘게 해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콩죽을 쑤어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그 속에서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는 것이 바로 효도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는 공자(孔子)의 말이 실려 있다.
♞숙숙[淑淑] 아름다운 모양, 물이 깊은 모양, 물이 맑게 괴어 있는 모양이다.
♞숙숙[宿宿] 이틀 밤을 묵음, 종종걸음으로 걷는 모양이다.
♞숙식[熟食] 한식일(寒食日)의 별칭이다. 한식일에는 불을 금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전일에 음식을 익혀 두었다가 이날 찬 음식으로 먹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97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258
196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5262
195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264
194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264
193 추곡[推轂] ~ 추기급인[推己及人] 5266
192 슬갑도적[膝甲盜賊] ~ 슬해[瑟海] 5270
191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271
190 진류은[陳留隱] ~ 진림[陳琳] ~ 진마표륜[陣馬飆輪] 5273
189 양지[兩地] ~ 양지삼천[兩地參天] ~ 양지양능[良知良能] 5274
188 벽사창[碧紗窓] ~ 벽사홍수[碧紗紅袖] 5275
187 백초[白草] ~ 백치성[百雉城] 5279
186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28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