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우군진적[右軍眞蹟] ~ 우기동조[牛驥同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26  
♞우군진적[右軍眞蹟] 우군(右軍)은 동진(東晉)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를 가리킨다. 그가 우군장군(右軍將軍)을 지냈기 때문이다. 그는 해(楷)․행(行)․초(草)의 체(體)에 모두 뛰어났는데, 특히 행서의 난정서(蘭亭序)와 해서(楷書)의 악의론(樂毅論)이 유명하다.
♞우군풍류[右軍風流] 우군(右軍)은 진(晉) 나라 때 우군장군을 지낸 명필 왕희지(王羲之)를 가리킨다. 당시 풍류가 높던 왕희지를 비롯하여 손작(孫綽)․사안(謝安) 등 명사 40여 명이 난정(蘭亭)에 모여 수계(修禊)를 하고, 곡수에 술잔을 띄워 마시고 시를 읊으며 즐겼는데, 이때 지은 시들을 모아 시집을 만들고 왕희지가 그 서문을 썼는 바, 그 서문에 “비록 음악까지 연주하는 성대한 연회는 아닐지라도 술 한 잔 마시고 시 한 수 읊는 것도 또한 그윽한 정을 펴기에 충분하다.”한 데서 온 말이다. <蘭亭集序>
♞우군환아[右軍換鵝] 왕희지(王羲之)의 벼슬이 우군장군(右軍將軍)이었다. 그는 거위[鵝]를 좋아하였는데, 산음(山陰)의 도사(道士)가 여러 마리를 가졌으므로, 희지가 요구하니 도사가, “황정경(黃庭經) 한 벌을 써 주면 바꾸겠소.”하므로 가서 황정경(黃庭經)을 써 주고는 거위를 농에 넣어 돌아왔다.
♞우권[右券] 고대 중국에서 계약을 할 때 계약서를 둘로 나누어 채무자와 채권자가 각각 보관했다. 채권자는 계약서의 오른쪽이나 왼쪽 중 한 쪽을 가지고 채무자에게 돈의 변제를 요구했다.
♞우기동조[牛驥同皁] 걸음이 느린 소와 천리마가 같은 마구간에 매여 있다는 뜻으로, 불초한 사람과 준재를 같이 취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또는 어진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이 같은 대우를 받는 것을 일컬어 비유한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353 우두[牛斗] ~ 우두황종[牛脰黃鍾] 3275
352 우도[牛刀] ~ 우동[尤侗] 3149
351 우내사[右內史] ~ 우당[虞唐] 3165
350 우군진적[右軍眞蹟] ~ 우기동조[牛驥同皁] 4627
349 우교[羽郊] ~ 우군서[右軍書] 3817
348 우공서[禹貢書] ~ 우괵시감[虞虢是監] 3204
347 우공고문[于公高門] ~ 우공문호[于公門戶] 4261
346 우공[禹貢] ~ 우공가도[虞公假道] 3749
345 우곡[愚谷] ~ 우공[优工] 3149
344 우계[愚溪] ~ 우계우덕부[虞階禹德敷] 3601
343 우경송위제[虞卿送魏齊] ~ 우경저술위궁수[虞卿著述爲窮愁] 3146
342 우경[耦耕] ~ 우경대협연쌍벽[虞卿大俠捐雙璧] 316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