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양상객[梁上客] ~ 양상도회[梁上塗灰] ~ 양생읍로기[楊生泣路歧]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44  

양상객[梁上客] 도둑을 이른다. 후한 때 진식(陳寔)이 어느 날 밤에 자기 집 들보 위에 도둑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자손들을 불러 놓고 이르기를 사람은 본래부터 악한 것이 아니라 습관에 따라 악인이 되는 것이니, 저 들보 위의 군자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양상군자[梁上君子] 들보 위의 군자(君子)라는 뜻으로, 도둑을 점잖게 일컫는 말. 후한(後漢) 사람 이식(李寔)이 밤에 들보 위에 있는 도둑을 발견하고 자손들을 불러 사람은 본래부터 악한 것이 아니라 나쁜 습관 때문에 악인이 되는 법이니, 저 들보 위의 군자가 곧 그러니라. 하며 들보 위의 도둑을 가리키니, 그 도둑이 크게 놀라 사죄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서 진식전>

양상도회[梁上塗灰] 들보 위에 회를 바른다. 여자가 얼굴에 화장을 너무 짙게 함을 비웃는 말이다.

양생[兩生] 한 고조(漢高祖)가 숙손통(叔孫通)을 시켜서 예()를 제정하게 하였더니, 숙손통이 천하의 선비를 불렀는데 노() 나라의 두 선비[兩生]가 부름에 응하지 아니하며 말하기를 예악(禮樂)은 덕을 쌓은 지 백년이 되어야 일으킬 수 있는 것인즉, 지금은 전쟁이 겨우 끝나서 죽은 사람의 장사도 못 다하고 상이(傷痍)한 사람이 일어나지도 못했는데 무슨 예악이냐.”라 하였다. 후세의 선비들이 이 두 선비를 참다운 선비라 한다.

양생[陽生] 동짓날에 양()이 처음 생기며 우레가 울기 시작하고, 날이 차차 따뜻해지기 시작한다.

양생읍로기[楊生泣路歧] 옛날 양주(楊朱)가 선()과 악()의 분기점에서 악의 길을 향하는 사람이 많은 것을 슬퍼하여 눈물을 흘렸던 楊朱泣歧의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淮南子 說林訓>

 

 



번호 제     목 조회
641 석노[石砮] ~ 석두일편요강기[石頭一片搖降旗] ~ 석랑[石郞] 2488
640 신번길방[申樊吉方] ~ 신부약[薪斧約] ~ 신비[辛毗] 2487
639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87
638 수사소[數斯疏] ~ 수산[守山] ~ 수산초주상헌황[首山初鑄想軒皇] 2486
637 유공진[庾公塵] ~ 유공흥[庾公興] ~ 유과[유과] 2486
636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6
635 왕태후[王太后] ~ 왕통[王通] ~ 왕패궤대[王霸詭對] 2485
634 쇄부거[碎副車] ~ 쇄산호[碎珊瑚] ~ 쇄수[碎首] 2483
633 단연[澶淵] ~ 단연사점감[丹鉛事點勘] ~ 단요무심이[但要無心耳] 2482
632 이사구[二寺狗] ~ 이사부[異斯夫] ~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2482
631 초거[軺車] ~ 초경양왕[楚頃襄王] ~ 초계탕천[焦溪湯泉] 2480
630 외교[外敎] ~ 외도[畏途] ~ 외부모[外父母] 2477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