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각저[刻著] ~ 각저희[角抵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73  
♞각저[刻著] 굳게 세우다.
♞각저[角觝] 씨름 비슷한 중국 유희.
♞각저[角抵] 진한(秦漢)시대 일종의 기예표연(技藝表演)이다. 대체로 현 시대의 공중제비 기예와 비슷하다. 한서․무제기에 “원봉(元封) 3년 봄, 각저희를 만들었다”라는 말이 보이고, 안사고(顔師古)가 주를 단 응소(應劭)에서 말하길 “각(角)은 겨루는 것이고, 저(抵)는 부딪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로부터 내려온다. 진(秦)나라 때에 각저라 칭하였는데 한서․형법지에 보인다. 송원시대에는 “상복(相扑)” 또는 “쟁교(爭交)”라 칭했다. 이는 남송(南宋)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夢梁錄))에 보인다. 한나라 때에는 각종 악무잡기(樂舞雜技)를 “각저희”라 칭했다. 동한(東漢) 장형(張衡)의 서경부(西京賦)에 “너른 광장에서 각저의 묘기를 보았다”라고 하였다. 후에 각저는 백희(百戱)와 통용되어 쓰인다.
♞각저분연월[脚底分燕越] 연(燕)은 북쪽 끝에 있고 월(越)은 남쪽 끝에 있는 나라로서 거리가 서로 매우 멀리 떨어진 것을 비유하는 말이니, 전하여 군자가 되는 길과 소인이 되는 길이 서로 현격하게 다름을 비유하기도 한다.
♞각저성시비실용[刻楮成時非實用] 한비자(韓非子)에 “송 나라에 어떤 교묘한 솜씨를 가진 사람이 상아(象牙)로 닥나무[楮]잎을 만들어 3년 만에 완성하였는데, 그 모양이나 빛깔이 참 닥나무와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용이 없는 것이었다.”란 말이 있다.
♞각저양춘[脚底陽春] 당(唐) 나라 송경(宋璟)이 인정을 베풀며 백성을 사랑하자, 조야(朝野)에서 칭송하면서 “그가 밟고 다니는 곳마다 따뜻한 봄빛이 묻어나온다.[有脚陽春]”고 일컬었던 고사가 전한다. <開元天寶遺事 卷下>
♞각저희[角抵戱] 씨름놀이.
 



번호 제     목 조회
41 감녕[甘寧] ~ 감담박[甘淡薄] 4275
40 간색조[看色條] ~ 간서유미료[簡書留未了] 4218
39 간백륜[諫伯倫] ~ 간불용발[間不容髮] 4441
38 간마[幹馬] ~ 간발지차[間髮之差] 4687
37 간두지세[竿頭之勢] ~ 간득[看得] 5045
36 간뇌도지[肝腦塗地] ~ 간담초월[肝膽楚越] 5021
35 각저[刻著] ~ 각저희[角抵戱] 5174
34 각자도생[各自圖生] ~ 각자이위대장[各自以爲大將] 5195
33 각원[覺苑] ~ 각인각색[各人各色] 4871
32 각설[却說] ~ 각승호가[却勝胡笳] 4434
31 각색[脚色] ~ 각선[郄詵] 4686
30 각배[各杯] ~ 각분상여[脚奔相如] 4535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