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각저[刻著] ~ 각저희[角抵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7  
♞각저[刻著] 굳게 세우다.
♞각저[角觝] 씨름 비슷한 중국 유희.
♞각저[角抵] 진한(秦漢)시대 일종의 기예표연(技藝表演)이다. 대체로 현 시대의 공중제비 기예와 비슷하다. 한서․무제기에 “원봉(元封) 3년 봄, 각저희를 만들었다”라는 말이 보이고, 안사고(顔師古)가 주를 단 응소(應劭)에서 말하길 “각(角)은 겨루는 것이고, 저(抵)는 부딪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로부터 내려온다. 진(秦)나라 때에 각저라 칭하였는데 한서․형법지에 보인다. 송원시대에는 “상복(相扑)” 또는 “쟁교(爭交)”라 칭했다. 이는 남송(南宋)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夢梁錄))에 보인다. 한나라 때에는 각종 악무잡기(樂舞雜技)를 “각저희”라 칭했다. 동한(東漢) 장형(張衡)의 서경부(西京賦)에 “너른 광장에서 각저의 묘기를 보았다”라고 하였다. 후에 각저는 백희(百戱)와 통용되어 쓰인다.
♞각저분연월[脚底分燕越] 연(燕)은 북쪽 끝에 있고 월(越)은 남쪽 끝에 있는 나라로서 거리가 서로 매우 멀리 떨어진 것을 비유하는 말이니, 전하여 군자가 되는 길과 소인이 되는 길이 서로 현격하게 다름을 비유하기도 한다.
♞각저성시비실용[刻楮成時非實用] 한비자(韓非子)에 “송 나라에 어떤 교묘한 솜씨를 가진 사람이 상아(象牙)로 닥나무[楮]잎을 만들어 3년 만에 완성하였는데, 그 모양이나 빛깔이 참 닥나무와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용이 없는 것이었다.”란 말이 있다.
♞각저양춘[脚底陽春] 당(唐) 나라 송경(宋璟)이 인정을 베풀며 백성을 사랑하자, 조야(朝野)에서 칭송하면서 “그가 밟고 다니는 곳마다 따뜻한 봄빛이 묻어나온다.[有脚陽春]”고 일컬었던 고사가 전한다. <開元天寶遺事 卷下>
♞각저희[角抵戱] 씨름놀이.
 



번호 제     목 조회
5201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5393
5200 대은[大隱] ~ 대은은조시[大隱隱朝市] 5391
5199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5390
5198 일하무혜경[日下無蹊徑] ~ 일한념아제포재[一寒念我綈袍在] ~ 일한수념여[一寒誰念汝] 5389
5197 진완[陳完] ~ 진왕철경거[陳王輟耕耟] ~ 진원룡[陳元龍] 5387
5196 번안[飜案] ~ 번영[繁纓] 5385
5195 가도[賈島] ~ 가도려과[賈島驢跨] 5384
5194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추래[一椎來] ~ 일출처천자[日出處天子] 5384
5193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 ~ 일망무제[一望無際] ~ 일명경인[一鳴驚人] 5379
5192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5378
5191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375
5190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37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