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각저[刻著] ~ 각저희[角抵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36  
♞각저[刻著] 굳게 세우다.
♞각저[角觝] 씨름 비슷한 중국 유희.
♞각저[角抵] 진한(秦漢)시대 일종의 기예표연(技藝表演)이다. 대체로 현 시대의 공중제비 기예와 비슷하다. 한서․무제기에 “원봉(元封) 3년 봄, 각저희를 만들었다”라는 말이 보이고, 안사고(顔師古)가 주를 단 응소(應劭)에서 말하길 “각(角)은 겨루는 것이고, 저(抵)는 부딪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전국시대(戰國時代)로부터 내려온다. 진(秦)나라 때에 각저라 칭하였는데 한서․형법지에 보인다. 송원시대에는 “상복(相扑)” 또는 “쟁교(爭交)”라 칭했다. 이는 남송(南宋)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夢梁錄))에 보인다. 한나라 때에는 각종 악무잡기(樂舞雜技)를 “각저희”라 칭했다. 동한(東漢) 장형(張衡)의 서경부(西京賦)에 “너른 광장에서 각저의 묘기를 보았다”라고 하였다. 후에 각저는 백희(百戱)와 통용되어 쓰인다.
♞각저분연월[脚底分燕越] 연(燕)은 북쪽 끝에 있고 월(越)은 남쪽 끝에 있는 나라로서 거리가 서로 매우 멀리 떨어진 것을 비유하는 말이니, 전하여 군자가 되는 길과 소인이 되는 길이 서로 현격하게 다름을 비유하기도 한다.
♞각저성시비실용[刻楮成時非實用] 한비자(韓非子)에 “송 나라에 어떤 교묘한 솜씨를 가진 사람이 상아(象牙)로 닥나무[楮]잎을 만들어 3년 만에 완성하였는데, 그 모양이나 빛깔이 참 닥나무와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용이 없는 것이었다.”란 말이 있다.
♞각저양춘[脚底陽春] 당(唐) 나라 송경(宋璟)이 인정을 베풀며 백성을 사랑하자, 조야(朝野)에서 칭송하면서 “그가 밟고 다니는 곳마다 따뜻한 봄빛이 묻어나온다.[有脚陽春]”고 일컬었던 고사가 전한다. <開元天寶遺事 卷下>
♞각저희[角抵戱] 씨름놀이.
 



번호 제     목 조회
5273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5735
5272 가교[駕轎] ~ 가규[賈逵] ~ 가급인족[家給人足] 5727
5271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722
5270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710
5269 염해[拈解] ~ 염화미소[拈華微笑] ~ 염화시중[拈華示衆] 5707
5268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5697
5267 대연[大衍] ~ 대연수[大衍數] ~ 대연오십[大衍五十] 5696
5266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664
5265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5652
5264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641
5263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5634
5262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562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