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766  

왕자교[王子喬] 왕자교는 주영왕(周靈王)의 태자로 이름은 진()이다. 생황을 즐겨 불며 이수(伊水)와 락수지간을 놀러 다니다가 도사 부구공(浮丘公)을 만나 숭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 30년 후에 그를 찾아 산에 오른 환량(桓良)이라는 사람에게 “77일 구지산(緱氏山) 등성이에서 나를 기다리라고 왕실에 알려라!”라고 말했다. 이윽고 때가 되자 과연 왕자진이 백학을 타고 날아와 산꼭대기에서 머물며 밑의 사람들을 향해 손을 흔들더니 며칠 후에 사라져 버렸다고 했다. 전고는 유향의 열선전이다.

왕자교[王子喬] 왕자교라는 신선은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 진()인데, 불로장수했다고 한다. 이수(伊水)와 낙수(洛水) 사이에 놀러 가서 도사 부구공(浮丘公)을 만나 숭고산(崇高山)에 올라갔다. 30여 년 뒤 산으로 찾아간 환량(桓良)을 보고 우리집에 알려서 77일에 구씨산 꼭대기에서 나를 만나도록 하라.” 했는데, 그 날이 되자, 과연 하얀 학을 타고 산 머리에 나타났다가 떠나갔다고 한다.

왕자교[王子喬]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을 말한다.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학을 타고 퉁소를 불며 신선(神仙)이 되어 갔다 한다. <列仙傳>

왕자량[王子良] 왕자량은 남제(南齊) 때의 경릉 문선왕(竟陵文宣王) 소자량(蕭子良)을 이르는데, 그가 일찍이 밤에 학사(學士)들을 모아 놓고 시를 지을 때 사운(四韻)의 경우는 촛불 일 촌(一寸)이 탈 동안에 다 짓기로 하여 이것을 규정으로 삼았던 데서 온 말이다. <南史 卷五十九>

 

 



번호 제     목 조회
41 용양[龍驤] ~ 용양군[龍陽君] ~ 용양목노[龍陽木奴] 5971
40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977
39 가도멸괵[假道滅虢] ~ 가도벽립[家徒壁立] ~ 가돈[家豚] 5982
38 주산자해[鑄山煮海] ~ 주생[周生] ~ 주선왕[周宣王] 6000
37 자공[子貢] ~ 자공서[子公書] ~ 자과[炙輠] 6013
36 주택[周澤] ~ 주평만[朱泙漫]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6034
35 출장입상[出將入相] ~ 출필고반필면[出必告反必面] 6040
34 죽루[竹樓] ~ 죽림우[竹林友] ~ 죽림현[竹林賢] 6047
33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 장의[張儀] ~ 장이, 진여[張耳, 陳餘] 6054
32 장양왕[莊襄王] ~ 장어민[藏於民] ~ 장열[張說] 6119
31 죽참순속[竹驂淳俗] ~ 죽취일[竹醉日] ~ 준골[駿骨] 6165
30 풍소소역수한[風蕭蕭易水寒] ~ 풍수[風樹] 6222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