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741  

왕자교[王子喬] 왕자교는 주영왕(周靈王)의 태자로 이름은 진()이다. 생황을 즐겨 불며 이수(伊水)와 락수지간을 놀러 다니다가 도사 부구공(浮丘公)을 만나 숭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 30년 후에 그를 찾아 산에 오른 환량(桓良)이라는 사람에게 “77일 구지산(緱氏山) 등성이에서 나를 기다리라고 왕실에 알려라!”라고 말했다. 이윽고 때가 되자 과연 왕자진이 백학을 타고 날아와 산꼭대기에서 머물며 밑의 사람들을 향해 손을 흔들더니 며칠 후에 사라져 버렸다고 했다. 전고는 유향의 열선전이다.

왕자교[王子喬] 왕자교라는 신선은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 진()인데, 불로장수했다고 한다. 이수(伊水)와 낙수(洛水) 사이에 놀러 가서 도사 부구공(浮丘公)을 만나 숭고산(崇高山)에 올라갔다. 30여 년 뒤 산으로 찾아간 환량(桓良)을 보고 우리집에 알려서 77일에 구씨산 꼭대기에서 나를 만나도록 하라.” 했는데, 그 날이 되자, 과연 하얀 학을 타고 산 머리에 나타났다가 떠나갔다고 한다.

왕자교[王子喬]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을 말한다.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학을 타고 퉁소를 불며 신선(神仙)이 되어 갔다 한다. <列仙傳>

왕자량[王子良] 왕자량은 남제(南齊) 때의 경릉 문선왕(竟陵文宣王) 소자량(蕭子良)을 이르는데, 그가 일찍이 밤에 학사(學士)들을 모아 놓고 시를 지을 때 사운(四韻)의 경우는 촛불 일 촌(一寸)이 탈 동안에 다 짓기로 하여 이것을 규정으로 삼았던 데서 온 말이다. <南史 卷五十九>

 

 



번호 제     목 조회
5117 최저[崔杼] ~ 최제수인[榱題數仞] 5225
5116 추수겸가백로징[秋水蒹葭白露澄] ~ 추양[鄒陽] 5225
5115 각골난망[刻骨難忘] ~ 각광[脚光] 5224
5114 견간[筧竿] ~ 견구인[牽狗人] 5224
5113 고력사[高力士] ~ 고륜지해[苦輪之海] 5222
5112 손초[孫楚] ~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5220
5111 한단침[邯鄲枕] ~ 한당인[漢黨人] 5219
5110 가동[賈董] ~ 가동주졸[街童走卒] ~ 가동필[呵凍筆] 5216
5109 취모[醉帽] ~ 취모멱자[吹毛覓疵] 5216
5108 공손[公孫] ~ 공손홍[公孫弘] 5216
5107 단사두갱[簞食豆羹] ~ 단서차화곤[丹書借華袞] 5211
5106 견우불복상[牽牛不服箱] ~ 견의불위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52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