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왕전사벌초[王翦辭伐楚] ~ 왕존애관[王尊愛官] ~ 왕존질어[王尊叱馭]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804  

왕전사벌초[王翦辭伐楚] 자신 없는 일은 착수하지 않음. 왕전(王翦)은 전국(戰國)시대의 이름난 장수로서 진시황(秦始皇)을 도와 조(()등의 나라를 평정하고 초()를 치기 위해 다시 회의를 했는데, 이때 이신(李信)은 병력 20만을 요청한 데 반해 왕전은 60만 병력이 아니면 정벌에 나갈 수 없다고 하여, 처음에 이신을 시켰다가 패하고 나서 다시 왕전을 기용하여 초를 평정하였다.<史記 卷七十三>

왕절신[王節信] 후한(後漢) 때 자()가 절신(節信)인 왕부(王符)가 당시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며 세상을 개탄하는 잠부론(潛夫論) 30여 편을 지었다.

왕정[王程] 왕사(王事)를 위해 분주하는 여정(旅程)을 말한다.

왕정[王鄭] 왕흡(王洽)과 정건(鄭虔). 모두 당() 나라 사람으로 그림과 시문(詩文)에 이름이 높았다.

왕존애관[王尊愛官] () 나라 왕양(王陽)이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험준하기로 유명한 구절판(九折阪)을 넘어다니게 되자 부모님이 주신 몸을 함부로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직하고 돌아왔는데, 그 뒤에 왕존이 자사가 되어 구절판을 넘을 때에는 마부에게 빨리 말을 몰라고 다그치며 왕양은 효자이지만 왕존은 충신이다.[王陽爲孝子 王尊爲忠臣]”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王尊傳>

왕존질어[王尊叱馭] () 나라 때 왕양(王陽)이 일찍이 익주 자사(益州剌史)가 되어 관할 지방을 순행하다가 공래산(邛郲山) 구절판(九折阪)에 이르렀을 때 탄식하며 말하기를 선인(先人)의 유체(遺體)를 받들고 어떻게 이런 험한 곳을 자주 다닐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는데, 뒤에 왕준(王尊)이 익주 자사가 되어서는 이 곳을 지나면서 아전에게 묻기를 이 곳이 바로 왕양이 두려워하던 길이 아니냐?”라고 하고는, 그의 마부에게 말을 몰도록 질책하면서 말하기를 왕양은 효자가 되었으니, 왕준은 충신이 될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05 사롱[紗籠] ~ 사롱정호[紗籠正護] ~ 사롱호상인[紗籠護像人] 2305
4804 봉사[鳳社] ~ 봉산관[蓬山館] ~ 봉산장실[蓬山藏室] 2307
4803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 ~ 채화지[採華芝] 2309
4802 원중랑[袁中郞] ~ 원중종죽개삼경[園中種竹開三逕] ~ 원진[元稹] 2310
4801 천부[天府] ~ 천부농단경분리[賤夫壟斷競分釐]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2313
4800 왕좌[王佐] ~ 왕준[王濬] ~ 왕진[王振] 2314
4799 이계[二戒] ~ 이계수[李季受] ~ 이곡화양춘[俚曲和陽春] 2314
4798 창간사[槍間射] ~ 창공[倉公] ~ 창구백의[蒼狗白衣] 2314
4797 천개지열[天開地裂] ~ 천거과[薦擧科] ~ 천견고사진월행[天遣孤楂趁月行] 2319
4796 봉창[篷牕] ~ 봉천위[奉天圍] ~ 봉침[縫針] 2320
4795 대련[大練] ~ 대령리[大令梨] ~ 대로[大鹵] 2321
4794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2325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