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유랑번행[劉郞番行] ~ 유랑삼구[庾郞三韭] ~ 유랑현도공독래[劉郞玄都空獨來]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51  

유랑번행[劉郞番行] 유랑은 후한(後漢) 때의 유신(劉晨)을 가리킨다. 명제(明帝) 때 유신이 완조(阮肇)와 함께 천태산(天台山) 도원동(桃源洞)으로 약을 캐러가서 선녀를 만나 함께 살다가 세상에 한번 나온 뒤에 다시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했다 한다. <幽明錄>

유랑삼구[庾郞三韭] 남조(南朝) () 나라 유고지(庾杲之)의 밥상에는 늘 부추로 만든 반찬 세 가지[三韭]만이 놓였는데, 삼구(三韭)가 삼구(三九)와 음이 같은 것에 착안하여 유랑이 어디 청빈하던가, 어채 반찬이 이십칠이나 되는걸.[誰謂庾郞貧 食鮭常有二十七種]”이라고 놀린 고사가 있다. <南齊書 庾杲之傳>

유랑주측반[劉郞舟側畔] 당 나라 유우석(劉禹錫)의 시()파선된 배 옆에 일천 돛대가 지나가고, 늙은 나무 앞에 일만 나무 붐비네.[沉舟側畔千帆過 老樹前頭萬木春]”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불행한 사람의 옆에 득의(得意)한 사람들이 지나간다는 말이다.

유랑현도공독래[劉郞玄都空獨來] 유랑은 곧 유우석(劉禹錫)을 말한다. 당서(唐書) 유우석전(劉禹錫傳)내가 둔전 원외랑(屯田員外郞)으로 있을 적에는 현도관(玄都觀)에 꽃이 없었는데, 낭주 사마(郞州司馬)로 좌천된 지 10년 만에 경사(京師)로 돌아와서 들으니, 도사(道士)가 현도관 주위에 선도(仙桃)를 잔뜩 심었다고 했다. 그 후 다시 지방관으로 좌천되어 있다가 14년이 지나서 다시 현도관을 찾아가 보니, 선도는 한 그루도 없고 아욱과 귀리만 봄바람에 흔들리더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37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383
4636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666
4635 장주[掌珠] ~ 장주류생주[莊周柳生肘] ~ 장주지몽[莊周之夢] 5580
4634 장정위[張廷尉] ~ 장조염승명려[莊助厭承明廬] ~장족자율사[將哫訾栗斯] 5006
4633 장절염황백안희[仗節炎荒白鴈稀] ~ 장접[莊蝶] ~ 장정[長亭] 5188
4632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4938
4631 장재[長齋] ~ 장재명[張載銘] ~ 장적[張籍] 5541
4630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583
4629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907
4628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324
4627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 장의[張儀] ~ 장이, 진여[張耳, 陳餘] 6059
4626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556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