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유문[留門] ~ 유민도[流民圖] ~ 유발속군전[遺鉢屬君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44  

유문[留門] 열어둘 때가 아닌데도 대궐문을 열어두는 일. 대궐문은 으레 초혼(初昏)에 닫았다가 날이 새면 여는 것인데, 나갈 자가 다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열어둘 때가 아닌데도 계속 열어 두는 것을 이른다.

유미암[柳眉巖] 미암은 유희춘(柳希春)의 호이다. 그는 명종(明宗) 2(1547)에 양재역 벽서 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곧바로 종성(鍾城)으로 유배되었는데, 종성에서 19년 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다. 선조(宣祖)가 즉위한 뒤에는 유배에서 풀려나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특히 경연관으로 오랫동안 있으면서 경사(經史)를 강론하였다.

유민도[流民圖] 떠도는 백성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송 나라 희령(熙寧) 6년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이 실현되자 진사(進士) 정협(鄭俠)이 수차 글월을 올려 그 피해를 지적했으나 답이 없었다. 그 후 정협은 고을을 맡아 나갔는데 때마침 가뭄이 심하여 많은 백성들이 수척할대로 수척한 몰골로 수심에 싸여 떠돌아다녔고, 자기 고을 백성들은 끼니 분별을 못하면서도 기와를 짊어지고 옷을 걷고 물을 건너와 관가의 빚 갚는 일에 땀을 흘리고 있었으므로 정협은 그것들을 모두 그림으로 그려 올렸다. 그 그림을 본 신종(神宗)은 크게 뉘우치고 드디어 자책(自責)의 조서를 내리고 청묘법(靑苗法)을 모두 폐지하였던바, 즉시 단비가 내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그림을 세상에서는 유민도(流民圖)라고 했다고 한다. <宋史 卷三百二十一>

유박[帷箔] 유박불수(帷箔不修)의 준말로 남녀 관계가 문란한 것을 말한다. <漢書 賈誼傳>

유반[洧盤] 전설 속에 나오는 물 이름으로, 엄자산(崦嵫山)에서 발원한다고 한다. 초사(楚辭) 이소(離騷)저녁에 궁석(窮石)으로 돌아가 머물고, 아침에 유반에서 머리를 감는다.”라 하였다.

유발속군전[遺鉢屬君傳] 불가(佛家) 승려의 밥그릇인 발우(鉢盂), 도를 전할 때 옷과 바리때[衣鉢]를 전하는 관습이 있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649 주류[肘柳] ~ 주륜취개[朱輪翠蓋] ~ 주륜화불[朱輪華紱] 5454
4648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5469
4647 주독[酒禿] ~ 주랑렬거분적벽[周郞列炬焚赤壁] ~ 주량[舟梁] 5517
4646 주덕송[酒德頌]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 주도추[朱桃椎] 4582
4645 장한귀심만일범[張翰歸心滿一帆] ~ 장한사[張翰事] ~ 장함석[丈函席] 4439
4644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977
4643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5610
4642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5055
4641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097
4640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296
4639 장초[萇楚] ~ 장추[長楸] ~ 장추곡[將雛曲] 5783
4638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555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