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유서재[柳絮才] ~ 유서차색[有書借索] ~ 유선진일몽[游仙眞一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39  

유서재[柳絮才] 유서는 버들개지인데 진()의 재상 사안(謝安)이 하루는 자녀들을 모아놓고 문장을 논하였다. 마침 눈이 내리므로 사안은 분분히 내리는 저 눈 무엇과 비슷한가?”라고 하고 물으니 조카 낭()공중에 소금 뿌리는 것과 비슷하네,[散鹽空中差可擬]”라고 하자, 질녀 도온(道蘊)버들개지 바람에 날린다는 표현만 못하오.[未若柳絮因風起]”라 하였다.

유서차색[有書借索] 옛날 이제옹(李濟翁)의 말에 책을 빌리는 것이 첫 번째 어리석음이요, 책을 안 빌려 주려는 것이 두 번째 어리석음이요, 빌려 준 책을 찾으려는 것이 세 번째 어리석음이요, 빌린 책을 되돌려 주는 것이 네 번째 어리석음이다.”라고 하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藝苑雌黃>

유서형용[柳絮形容] 사안(謝安)의 가족이 일찍이 한 자리에 모였을 적에 이윽고 눈이 갑자기 내리자, 사안이 자질(子姪)들을 향해 이것이 무엇 같으냐?”고 물으니, 사안의 종자(從子)인 사랑(謝朗)공중에서 소금을 뿌린다는 형용이 약간 근사하겠습니다.[散鹽空中差可擬]”라 하므로, 사도운(謝道韞)이 말하기를 버들개지가 바람에 날린다는 형용만 못합니다.[未若柳絮因風起]”고 하니, 사안이 크게 기뻐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六>

유선[儒仙] 신라(新羅) 말기의 유학자로서 만년에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은거했던 최치원(崔致遠)을 가리킨다. 청량산에는 최치원이 수도(修道)한 고운대(孤雲臺)와 독서대(讀書臺)가 있다.

유선[儒禪] 유교(儒敎)와 선교(禪敎)를 말한다.

유선군[留仙裙] 주름 잡힌 치마를 가리킨다.

유선진일몽[游仙眞一夢] 유선침(游仙枕)을 베고 자면 꿈속에서 신선들과 노닐 수가 있다고 한다. <開元天寶遺事 游仙枕>

 

 



번호 제     목 조회
4649 주류[肘柳] ~ 주륜취개[朱輪翠蓋] ~ 주륜화불[朱輪華紱] 5454
4648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5469
4647 주독[酒禿] ~ 주랑렬거분적벽[周郞列炬焚赤壁] ~ 주량[舟梁] 5517
4646 주덕송[酒德頌]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 주도추[朱桃椎] 4582
4645 장한귀심만일범[張翰歸心滿一帆] ~ 장한사[張翰事] ~ 장함석[丈函席] 4439
4644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977
4643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5610
4642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5055
4641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097
4640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296
4639 장초[萇楚] ~ 장추[長楸] ~ 장추곡[將雛曲] 5783
4638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555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