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유수음[濡首飮] ~ 유순[由旬] ~ 유시불망간[牖尸不忘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54  

유수음[濡首飮] 술에 몹시 취하여 본성을 잃고 광태를 부린다는 뜻이다. 주역(周易) 미제괘(未濟卦) 상구(上九)술을 마시고서 미더움이 있으면 허물이 없거니와, 머리를 적시면 미더움이 있다 해도 실수할 것이다.[有孚于飮酒 無咎 濡其首 有孚 失是]”라고 하였다.

유수행운[流水行雲] 종적이 일정하지 않음을 이른다. 행각승(行脚僧)의 이칭(異稱)으로도 쓰인다.

유순[由旬] 불가에서 말하는 거리의 단위. 범어(梵語)의 음역(音譯)으로 유사나·유선나·유연이라고도 하며 30(), 40리 혹은 16리에 해당한다고 한다. 옛날 제왕(帝王)이 하룻동안 행군(行軍)하는 이정(里程)이다. <西域記 卷二>

유시[柳市] 버드나무 그늘이 드리운 거리. 보통은 술집이 있는 거리를 뜻한다.

유시[侑尸] 제사할 때 시()에게 음식을 권하는 일이다.

유시무종[有始無終] 시작은 있으나 끝이 없음을 이른다. 유시유종(有始有終).

유시불망간[牖尸不忘諫] ()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임금 영공(靈公)을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사추가 죽음에 임박하여 아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생전에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였으니, 죽거든 시체를 바라지문 밖에 두어라.”라 하였는데, 임금이 이를 듣고 뉘우쳤다고 한다.

유시여[猶時汝] 시여(時汝)는 사마표의 주에 처녀(處女)와 같다.”고 했고, 상수(尙秀)처녀와 같이 남에게 순종하기만 하고 앞장서서 구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유시유종[有始有終] 시작도 있고 끝도 있다는 데서, 시작할 때부터 끝맺을 때까지 변함이 없음을 말한다. 유시무종(有始無終).

 

 



번호 제     목 조회
4649 주류[肘柳] ~ 주륜취개[朱輪翠蓋] ~ 주륜화불[朱輪華紱] 5426
4648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5446
4647 주독[酒禿] ~ 주랑렬거분적벽[周郞列炬焚赤壁] ~ 주량[舟梁] 5448
4646 주덕송[酒德頌]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 주도추[朱桃椎] 4564
4645 장한귀심만일범[張翰歸心滿一帆] ~ 장한사[張翰事] ~ 장함석[丈函席] 4429
4644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954
4643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5584
4642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4989
4641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072
4640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280
4639 장초[萇楚] ~ 장추[長楸] ~ 장추곡[將雛曲] 5761
4638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552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