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유씨익[劉氏溺] ~ 유아[唯阿] ~ 유아독존[唯我獨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99  

유씨익[劉氏溺] 패공(沛公)이 선비를 좋아하지 않아서, 갓을 쓰고 찾아오는 선비가 있으면 다짜고짜 갓을 벗겨가지고 오줌을 누었다는 고사이다. <史記 酈食其傳>

유아[儒兒] 아첨해서 웃음.

유아[唯阿] ()는 공손한 대답을 가리키고, ()는 공손치 못한 대답을 가리킨다.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상편(上篇) 20()학문을 끊어 버려야 근심이 없게 된다. ‘하는 대답과 하는 대답 사이에 도대체 차이가 얼마나 되겠는가.[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는 정중하게 대답하는 것, ()는 오만하게 대답하는 것. 근본인 도의 차원에서 보면 차이가 거의 없다는 말이다.

유아[兪兒] 임금이 거둥할 때에 어린아이가 궁문에서 외치는 소리. 대개 옛날의 준례가 임금의 수례가 궁문을 나서면 액례(掖隷)의 어린 아이들이 쌍향으로 앞에 서서 소매를 들어 유아(兪兒)를 외고 다음에 수레가 출발하였는데 이것은 옛날 춘추시대 제 환공(齊桓公)이 오랑캐를 치러 갈 때 어린아이가 앞에 나타나자 관중(管仲)이 그것을 패()가 될 징조라고 한데서 유래된 것이다.

유아독존[唯我獨尊] 오직 자기만이 홀로 존귀하다는 데서, 불교의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에서 나온 말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전등록(傳燈錄)에 있는 말로, 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존귀(尊貴)한 것이 없다는 말. 석가(釋迦)가 태어났을 때에 한 손으로 하늘을, 또 한 손으로 땅을 가리켜 일곱 걸음을 걸으며 사방을 돌아보고 이른 말이다. 독존(獨尊).

 

 



번호 제     목 조회
4661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5357
4660 주야장천[晝夜長川] ~ 주언륜[周彦綸] ~ 주역[周易] 5288
4659 주아부[周亞夫] ~ 주안[鑄顔] ~ 주애수결신[朱崖受玦辰] 4504
4658 주수[晝繡] ~ 주수수구[走獸首丘] ~ 주시응적[周詩膺狄] 4030
4657 주성[酒聖] ~ 주성강[周成康] ~ 주송심[周宋鐔] 5276
4656 주산자해[鑄山煮海] ~ 주생[周生] ~ 주선왕[周宣王] 6006
4655 주사[柱史] ~ 주사소단조[柱史燒丹竈] ~ 주사직[朱絲直] 5473
4654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5302
4653 주미[麈尾] ~ 주방[肘方] ~ 주보언[主父偃] 5034
4652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5652
4651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5958
4650 주리[珠履] ~ 주리삼천객[珠履三千客] ~ 주마백령주[走馬白翎洲] 330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