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음견[吟肩] ~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묵[飮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932  

음견[吟肩] 음견은 시를 읊을 때 어깨를 으쓱거리며 위로 치켜올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인데, 소식(蘇軾)의 시에 그대는 또 못 보았는가 눈 속에 나귀탄 맹호연을, 시 읊느라 찌푸린 눈썹 산처럼 솟은 두 어깨를.[又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이라는 명구(名句)가 있다. <蘇東坡詩集 卷12 贈寫眞何充秀才>

음관[陰官] 음관은 우사(雨師)를 말한다.

음교[陰敎] ()의 교화, 즉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다.

음담패설[淫談悖說] 음탕하고 상스런 이야기.

음덕양보[陰德陽報] 숨은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분명하게 드러나는 보답이 있음. 남모르게 덕을 쌓는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음을 이른다.

음덕유이명[陰德猶耳鳴] 음덕은 남이 모르게 은혜를 베푸는 것인데, 그것은 귀가 우는 것과 같아서, 자기만 알고 다른 사람은 모르는 것이다.

음려[陰沴] 음양의 기운이 조화를 잃어 음기(陰氣)가 치성한 나머지 천지 사이에 일어나는 재해를 이른다.

음림리반붕[淫霖裏飯朋] 옛날 자여(子輿)와 자상(子桑)은 친한 친구였는데, 10일 동안 장마가 지자, 자여는 자상이 병들었을 것이다.”라 하고는 밥을 싸가지고 가서 먹였다 한다. <莊子 大宗師>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장성(長城) 아래 천굴(泉窟)이 있어 수졸(戍卒)들이 그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인 것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노래인데, 진 시황(秦始皇)이 호()를 방어하기 위해 장성을 쌓을 적에 수졸들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고 죽은 시체가 성 아래 즐비하였으므로, 한 수졸의 부인이 남편의 근로(勤勞)함을 생각하여 이 곡을 지었다 한다.

음마투전[飮馬投錢] 말에게 물을 마시게 할 때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 값을 갚는다는 뜻으로, 결백한 행실을 이른다.

음묵[飮墨] 수서(隋書) 예의지(禮儀志)글자를 빠뜨리거나 오자(誤字)를 쓴 사람은 불러내어 좌석 뒷자리에 서 있게 하고, 글씨가 용렬한 자에게는 벌로 먹물 한 되를 마시게 했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721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5280
4720 증상[烝嘗] ~ 증성구중[增城九重] ~ 증언[贈言] 4034
4719 증사[蒸砂] ~ 증삼덕[曾參德] ~ 증삼투저[曾參投杼] 4714
4718 증모[烝髦] ~ 증모혹[曾母惑] ~ 증민[蒸民] 4491
4717 증계리[曾季貍] ~ 증균[蒸菌] ~ 증리생진[甑裏生塵] 6736
4716 중후관[中侯官]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 ~ 즐풍목우[櫛風沐雨] 6644
4715 중화계방훈[重華繼放勳] ~ 중화악[中和樂] ~ 중화절[中和節] 4100
4714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6270
4713 중천액[中天厄] ~ 중초탁고계[衆草擢孤桂] ~ 중취독성[衆醉獨醒] 3342
4712 중정인의공[中正仁義功] ~ 중주[中州] ~ 중채현주록[衆綵絢朱綠] 6134
4711 중은[中隱] ~ 중일[中日] ~ 중장원[仲長園] 4123
4710 중울거[仲蔚居] ~ 중원록[中原鹿] ~ 중유재[仲由材] 339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