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응양[鷹揚] ~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 응전[鷹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540  

응양[鷹揚] 강태공(姜太公)이 주무왕(周武王)을 도와서 은() 나라의 목야(牧野)를 칠 때 80 노인으로서 매처럼 기운차게 날뛰었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대명(大明), 주 무왕(周武王)을 도와 은() 나라를 멸망시킨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의 공을 찬미하면서 태사인 태공망이 마치 매가 날 듯, 무왕을 도우시어 은 나라를 정벌하니, 회전(會戰)하는 그 아침은 맑고 밝았네.[維師尙父 時維鷹揚 涼彼武王 肆伐大商 會朝淸明]”라는 말이 나온다.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위수(渭水)에 낚시를 드리우고 문왕(文王)을 기다렸다가 뒤에 무왕(武王)을 도와 은()을 정복하고 주() 나라를 세우는 데 큰 공헌을 한 강태공(姜太公)을 이른다.

응유[應劉] 응유는 삼국(三國) 시대 위()의 왕찬(王粲공융(孔融진림(陳琳완우(阮瑀서간(徐幹)과 함께 건안칠자(建安七子)였던 응창(應瑒)과 유정(劉楨)을 말하는데, 위 문제(魏文帝)가 태자(太子)로 있을 적에 이들을 총애하여 항상 동궁에 불러 놓고 주연(酒宴)을 베풀고 즐겼다 한다.

응전[鷹鸇] 응전(鷹鸇)은 모두 매의 종류로 군주에게 무례하거나 부모에게 불효하는 자를 보면 매가 새들을 쫓듯이 몰아냄을 뜻한다. 후한(後漢) 때에 구람(仇覽)은 자를 계지(季智), 일명 향()이라고 하였는데, 포정(蒲亭)의 장()으로 있으면서 홀어머니에게 불효하는 진원(陳元)이라는 자를 형벌로 다스리지 않고 말로 타일러 교화시켰다. 이에 사람들이 응전의 뜻이 적은 것이 아니냐?”고 묻자 나는 매가 봉황만 못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後漢書 卷七十六 循吏 仇覽傳>

 

 



번호 제     목 조회
4721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5267
4720 증상[烝嘗] ~ 증성구중[增城九重] ~ 증언[贈言] 4027
4719 증사[蒸砂] ~ 증삼덕[曾參德] ~ 증삼투저[曾參投杼] 4706
4718 증모[烝髦] ~ 증모혹[曾母惑] ~ 증민[蒸民] 4479
4717 증계리[曾季貍] ~ 증균[蒸菌] ~ 증리생진[甑裏生塵] 6730
4716 중후관[中侯官]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 ~ 즐풍목우[櫛風沐雨] 6639
4715 중화계방훈[重華繼放勳] ~ 중화악[中和樂] ~ 중화절[中和節] 4091
4714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6261
4713 중천액[中天厄] ~ 중초탁고계[衆草擢孤桂] ~ 중취독성[衆醉獨醒] 3334
4712 중정인의공[中正仁義功] ~ 중주[中州] ~ 중채현주록[衆綵絢朱綠] 5806
4711 중은[中隱] ~ 중일[中日] ~ 중장원[仲長園] 4107
4710 중울거[仲蔚居] ~ 중원록[中原鹿] ~ 중유재[仲由材] 339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