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의상[衣裳] ~ 의소계재상[依所啓宰相] ~ 의수죽[倚修竹]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84  

의상[衣裳] 수의상(垂衣裳)의 준말로, 거룩한 임금의 치세(治世)를 말한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황제(黃帝)와 요()와 순()이 의상을 드리움에[垂衣裳] 천하가 제대로 다스려졌다.”는 말이 있다.

의상초초[衣裳楚楚] 시경(詩經) 조풍(曹風) 부유(蜉蝣)말똥구리의 날개 빛, 그 의상이 선명토다.[蜉蝣之羽 衣裳楚楚]”라고 하였다.

의소[宜笑] 친하게 웃다.

의소계재상[依所啓宰相] 자기의 주관이 없이 남의 주장만을 따르는 재상을 비웃는 말이다.

의소세손[懿昭世孫] 영조(英祖)의 세손(世孫)이며, 장조(莊祖;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첫째 아들의 묘소를 말한다.

의소우함제[宜笑又含睇] 굴원(屈原)의 구가(九歌) 산귀(山鬼)정을 듬뿍 담고서 나를 보고 웃음이여, 산귀(山鬼) 그대도 요조한 나를 좋아하나 봐.[旣含睇兮又宜笑 子慕予兮善窈窕]”라는 구절이 있다.

의수[宜脩] 수식을 잘하다.

의수유사효연명[擬收遺事效淵明] 도연명(陶淵明)이 글을 지을 때, 의희[義熙 동진(東晉) 안제(安帝)의 연호로 이때 동진이 멸망당했음] 이전은 분명히 진대(晉代)의 연호를 기입하고, 남송(南宋)이 시작된 영초(永初 무제(武帝)의 연호) 이후는 갑자(甲子)로만 기록했던 고사가 있다.

의수죽[倚修竹] 두보(杜甫)의 가인(佳人)시에 해가 저문데 긴 대나무에 기대었다[日暮倚修竹]”란 구절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733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914
4732 지랑[支郞] ~ 지록위마[指鹿爲馬] ~ 지뢰[地籟] 5456
4731 지두화[指頭畫] ~ 지둔[支遁] ~ 지란장[支蘭藏] 5117
4730 지도인시[至道因是] ~ 지독지애[舐犢之愛] ~ 지동지서[指東指西] 7129
4729 지도[軹道] ~ 지도난문[至道難聞]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5128
4728 지난이퇴[知難而退] ~ 지당대신[至當大臣] ~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6396
4727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6558
4726 지구우[止邱隅] ~ 지균[指囷] ~ 지기[支祈] 5069
4725 지공[支公] ~ 지과경[止戈經] ~ 지광[摯曠] 3712
4724 지개[芝蓋] ~ 지견향[知見香] ~ 지고포천리[脂膏飽千里] 4274
4723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710
4722 증제[烝祭] ~ 증창승부[憎蒼蠅賦] ~ 증처회유[贈處回由] 532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