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도련갑자[泥塗憐甲子] ~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 이도예미[泥塗曳尾]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91  

이도[履道] 낙양(洛陽)에 있는 마을 이름인데, 백거이(白居易)가 만년에 여기서 농사를 짓고 살았다.

이도련갑자[泥塗憐甲子] 숱한 세월을 불우하게 보낸 것을 안쓰럽게 여기는 말이다. 춘추 시대 진() 나라의 축성 공사에 동원된 노인이 나이를 알지 못한 채 생일인 정월 갑자날 초하루에서 445번째의 갑자날이 지나갔다.[生之歲正月甲子朔 四百有四十五甲子矣]고 하자, 사광(師曠)73세가 되었다고 하였는데, 이에 조맹(趙孟)이 그 노인을 불러다 사과하기를 당신을 발탁해서 제대로 쓰지 못하고 오래도록 토목 공사의 인부로 있게 하였으니 이것은 나의 죄이다.[不能由吾子 使吾子辱在泥塗久矣 武之罪也]”라고 한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春秋左傳 襄公 20> 한편 두보(杜甫)의 시에도 有客雖安命 衰容豈壯夫 家人憂几杖 甲子混泥塗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 贈韋左丞濟>

이도부[二都賦] 서경부(西京賦동경부(東京賦)이다.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복숭아 두 개로 무사 세 명을 죽인다는 뜻으로, 교묘한 책략으로 상대를 자멸하게 하는 것을 비유한 말. 춘추시대 ()나라의 명재상 안영(晏嬰)에 얽힌 이야기이다.

이도예미[泥塗曳尾] 벼슬에 속박됨이 없이 편안히 살기를 바라는 뜻이다. 거북은 죽어서 점치는 데 씌어 귀하게 되는 것보다는 살아서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니기를 좋아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이도욕[泥塗辱] 재능 있는 사람이 낮은 자리에서 고생함을 비유한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69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6425
4768 진침난위제[陳諶難爲弟] ~ 진탑불요현[陳榻不要懸] ~ 진택선[震澤仙] 4102
4767 진초대흥[晉楚代興] ~ 진췌[秦贅] ~ 진췌한[殄瘁恨] 5533
4766 진착[珍錯] ~ 진첩[晉帖] ~ 진초경[晉楚卿] 6376
4765 진진[津津] ~ 진진[振振] ~ 진진약[秦晉約] 5525
4764 진준[陳隼] ~ 진중자[陳仲子] ~ 진지[秦地] 4344
4763 진조여[陳趙予] ~ 진종욕도자응미[塵蹤欲到自應迷] ~ 진주삼장사[晉州三壯士] 5180
4762 진정수사[秦政收司] ~ 진정표[陳情表] ~ 진제궁송[秦帝宮松] 3800
4761 진전[眞殿] ~ 진정계사[晉亭禊事] ~ 진정민우[秦政民愚] 4036
4760 진인척[秦人瘠] ~ 진일주[眞一酒] ~ 진재[眞宰] 4469
4759 진이세[秦二世] ~ 진인설언[秦人設言] ~ 진인책[秦人策] 4088
4758 진유근리사[鎭幽謹理使] ~ 진유풍정[溱洧風情] ~ 진유화표[眞遊華表] 402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