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호미[履虎尾] ~ 이홍[泥鴻] ~ 이홍유적[泥鴻遺跡]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625  

이호[二豪] 두 호걸. 귀개공자(貴介公子)와 진신처사(縉紳處士)를 말한다. 유백륜(劉伯倫)의 주덕송(酒德頌)옆에 있는 두 호걸을 마치 작은 벌레같이 본다.”고 하였다.

이호미[履虎尾] 주역(周易) 이괘(履卦) 육삼효(六三爻)호랑이 꼬리를 밟아 호랑이에게 물리니 흉하다.[履虎尾 咥人 凶]”는 말이 나온다.

이호민[李好閔] 자는 효언(孝彦)이고 호는 오봉(五峯)이다.

이호시측유명령[二豪侍側猶螟蛉] () 나라 유령(劉伶)주덕송(酒德頌)’술 취한 대인 선생(大人先生) 옆에 두 호걸이 모시고 섰는데, 그 모습이 마치 나나니벌[蜾蠃]과 배추벌레[螟蛉] 같았다.”는 말이 있다.

이홍[泥鴻] 본디 돌아가는 기러기가 다시 올 때의 목표로 눈 녹은 진흙 위에 남겨둔 발자국이, 다시 돌아올 때에는 형적이 없어 찾을 길이 없게 된다는 설니홍조(雪泥鴻瓜)에서 온 말로, 과거의 사적이 흔적도 남지 않고 없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인생살이 가는 곳은 알괘라 어떠한고, 눈녹은 물을 밟은 기러기와 흡사하리. 눈 위에 우연하게 발자국을 남긴 뒤에, 기러기 날아가면 동서쪽을 어찌 알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이홍반[二紅飯] 원래 대맥(大麥)과 소홍두(小紅豆)를 섞어서 지은 밥을 말한다.

이홍유적[泥鴻遺跡] 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인생살이 이르는 곳 무엇과 비슷한고 나는 기럭 눈 진펄 밟는 것과 같으리니 진펄 위에 우연히 발톱자국 남긴 뒤에 기럭 날아가버리면 동서를 어찌 분간하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瓜 鴻飛那復計東西]”에서 나온 것으로, 현재 함께 어울려 즐기는 일이 나중에 허무하게 흔적만 남을 것이라는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05 채석이백명[采石李白名] ~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 ~ 채수[綵樹] 2373
4804 채봉인[蔡封人] ~ 채부다탈락[菜部多脫落] ~ 채색[菜色] 2225
4803 채번[綵幡] ~ 채번은[綵幡恩] ~ 채복인[彩服人] 2249
4802 채모팽기[蔡謨蟛蜞] ~ 채묵[蔡墨] ~ 채미인[採薇人] 2634
4801 채란[采蘭] ~ 채란시[採蘭詩] ~ 채륜[蔡倫] 2506
4800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256
4799 창화[菖花] ~ 채각관[豸角冠] ~ 채군모[蔡君謨] 2587
4798 창해구석[滄海驅石] ~ 창해군[倉海君] ~ 창해일속[滄海一粟] 2590
4797 창촉[菖歜] ~ 창포고[菖蒲苦] ~ 창피[猖被] ~ 창해검무흔[蒼海劒無痕] 3266
4796 창중서[倉中鼠] ~ 창창비정색[蒼蒼非正色] ~ 창천불은노성인[蒼天不憖老成人] 2516
4795 창주[滄洲] ~ 창주기[蒼州期] ~ 창주이로[蒼洲二老] 2795
4794 창음[菖飮] ~ 창전혈지승[窓前穴紙蠅] ~ 창졸지간[倉卒之間] 2471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