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화[籬花] ~ 이화노제[里化魯齊] ~ 이화창[梨花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918  

이화[籬花] 국화꽃을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시 음주(飮酒)’ 동쪽 울 아래에서 국화꽃을 따다가,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는 명구(名句)가 있다. <陶淵明集 卷3>

이화감[離和坎] 불과 물. 양생(養生)의 요체(要諦)는 수화(水火), 음양(陰陽)의 배합에 있다.

이화노제[里化魯齊] 고을이 학덕에 감화되어 강태공(姜太公)의 제() 나라와 주공(周公)의 노() 나라처럼 풍속이 아름답게 되었다는 것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제 나라가 한번 변하면 노 나라 경지에 이르고 노 나라가 한번 변하면 도()에 이를 것이다.[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라고 하였다.

이화무[梨花舞] 이화는 옛날 창법(槍法)의 한 가지이다. 삼재도회(三才圖會) 기용(器用) 이화창식(梨花槍式)() 나라 이전(李全)이 이 법을 활용하여 산동에서 영웅노릇을 했다.”는 말이 있다.

이화정[李和鼎] 화정은 당()의 시어사(侍御史)였던 이감(李甘)의 자()이다. 그는 무척 정직하였는데, 교활한 정주(鄭注)가 재상되기를 구하자 이감은 재상은 첫째 덕망이 있어야 하고, 다음은 문예가 있어야 하는데, 정주가 어떤 사람인데 재상을 구한단 말인가. 만일 그에게 임명장이 내리면 찢어버리겠다.”고 하였다. 그 후 과연 정주에게 임명되므로 이것을 찢었다가 죄를 얻어 좌천되었다. <新唐書 李甘傳>

이화창[梨花槍] () 나라 양업(楊業)이 창시한 창법(槍法)의 이름인데, 그가 거란(契丹)의 대군에게 포로로 잡힐 적에 “20년 동안 이화창으로 천하무적이었으나 지금은 대세가 이미 기울어 버렸으니 어떻게 버텨 볼 길이 없다.[二十年梨花槍 天下無敵手 今事勢已去 撑拄不行]”고 탄식한 고사가 전한다. <宋史 叛臣傳 下, 李全 下>

 

 



번호 제     목 조회
4877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77
4876 퇴지[退之]~퇴지금시[退之琴詩]~퇴지산석구[退之山石句]~ 2178
4875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179
4874 천령[川寧] ~ 천록조청려[天祿照靑藜] ~ 천뢰[天籟] 2180
4873 천학비재[淺學菲才] ~ 천향[天香] ~ 천형[踐形] 2180
4872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182
4871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185
4870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189
4869 왕황후[王皇后] ~ 왕회[王會] ~ 왕회[王恢] 2191
4868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91
4867 천책부[天策府] ~ 천촌만락[千村萬落] ~ 천추소자유[千秋蘇子遊] 2194
4866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196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