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소문평반[一笑問平反] ~ 일소상동[逸少床東] ~ 일손연경액[一飱嚥瓊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73  

일소문평반[一笑問平反] 아들이 정사를 잘 행하는 것에 행복을 느꼈다는 말이다. 평반(平反)은 억울한 죄를 다시 조사하여 무죄로 하거나 감형(減刑)해 주는 것이다. () 나라 준불의(雋不疑)의 모친이 아들에게 오늘은 평번을 해서 몇 사람이나 살렸느냐?”하고 묻고는 많은 사람을 구제했다는 대답을 들으면 기뻐서 웃곤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漢書 雋不疑傳>

일소상동[逸少床東] () 나라 왕희지(王羲之)의 자()가 일소(逸少)인데, 태위(太尉) 치감(郗鑒)이 왕씨네 집에서 사윗감을 고를 적에 왕희지가 동쪽 상() 위에 누워서 호떡을 먹고 있다가 사위가 된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雅量>

일소춘[一笑春] () 나라 때 준불의(雋不疑)가 경조윤(京兆尹)이 되었을 적에, 그가 죄수들을 많이 살려 주었다는 말을 들을 적마다 그의 모친이 기뻐하며 웃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일소회[逸少懷] 일소(逸少)는 진() 나라 왕희지(王羲之)의 자임. 왕희지의 난정기(蘭亭記)…… 비록 성대한 관현악은 없으나, 한 잔 마시고 한 수 읊는 것이 또한 그윽한 정회를 풀기에 충분하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일속[一粟]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에서 인생이 한 몸으로 우주간(宇宙間)에 사는 것은, 마치 넓은 창해(滄海)에 떠 있는 좁쌀 한 알과 같다.[渺滄海之一粟]”고 하였다.

일손연경액[一飱嚥瓊液] 선도(仙道)를 닦는 자는 봄에 조하(朝霞)를 먹는데, 조하는 태양이 처음 떠오르려 할 때 나타나는 적황(赤黃)의 기운이라는 말이 한서(漢書)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의 주()에 나온다.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에도 노을 한번 먹으니 경액을 삼키는 듯, 오장에서 금사를 발하는구나.[一飱嚥瓊液 五內發金沙]”라는 표현이 나온다. <李太白集 卷20 早望海霞邊>

 

 



번호 제     목 조회
4649 당망[曭莽] ~ 당무백도아[堂無伯道兒] ~ 당반환제마[唐班煥制麻] 2518
4648 병경치뢰[甁罄恥罍] ~ 병두국[幷頭菊] ~ 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2519
4647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20
4646 방편[方便] ~ 방향[方響] ~ 방현로[妨賢路] 2521
4645 무성취[無聲臭] ~ 무성현단[武城絃斷] ~ 무수지정[舞獸之庭] 2523
4644 융의[戎衣] ~ 융준공[隆準公] ~ 융중[隆中] 2523
4643 내의무[萊衣舞] ~ 내의지덕[來儀之德] ~ 내정채복[萊庭綵服] 2524
4642 석주[石洲] ~ 석지[石砥] ~ 석참충빙루[昔慚蟲氷陋] 2524
4641 수수방관[袖手傍觀] ~ 수숙빈교의[嫂叔貧交誼] ~ 수식태평연제력[誰識太平緣帝力] 2524
4640 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 ~ 아군환서[鵝群換書] ~ 아금[牙琴] 2524
4639 이연[貽燕] ~ 이영[李穎] ~ 이오[夷吾] 2526
4638 보리[甫里] ~ 보리수[菩提樹] ~ 보리자[菩提子] 252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