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전쌍조[一箭雙雕] ~ 일전어[一轉語] ~ 일점영서[一點靈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51  

일전쌍조[一箭雙雕] 한 대의 화살로 두 마리의 새를 맞춘다는 말로, 단 한번의 조치로 두 가지의 수확을 거둔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장손성(長孫晟)은 자가 계성(季晟)으로, 성품이 화통하고 민첩하였으며, 많은 책을 두루 섭렵했다. 활쏘기를 잘하였고, 굳세고 날렵하기가 남보다 뛰어났다. 18세에 주()를 섬겨 사위상사(司衛上士)가 되었다. 장손성은 처음에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언젠가 수문제(隋文帝)가 한번 보고 몹시 기이하게 여겨 장손성의 무예가 뛰어나고 기이한 책략이 많구나. 이후의 명장은 이 사람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돌궐의 섭도(攝圖)가 청혼을 하자, ()는 조왕(趙王) ()의 딸을 아내로 주었다. 주와 섭도는 각자 서로 경쟁하여 날래고 용감한 사람을 뽑아 사자로 보냈는데, 주는 장손성을 여남공(汝南公) 우문신경(宇文神慶)의 부관으로 하여 천금공주(千金公主)를 호송하도록 했다. 전후하여 수십 차례 사자를 보냈는데, 섭도는 대부분 예로써 대하지 않았다. 그런데 유독 장손성만을 아껴 매번 함께 사냥을 나가면서 한 해가 다 가도록 머물게 했다. 한번은 독수리 두 마리가 날면서 고기를 다투는 것을 보고 섭도가 두 개의 화살을 장손성에게 주며 쏘아서 잡으라고 했다. 장손성이 말을 달려 독수리가 서로를 움키려고 엉긴 것을 보고 화살 한 대로 두 마리를 꿰뚫어 버렸다. 섭도가 기뻐하며 여러 자제와 귀인들에게 명하여 서로 친구가 되도록 했는데, 서로 가깝게 지내면서 활쏘기를 배우기 바랐기 때문이었다.[嘗有二雕, 飛而爭肉, 因以箭兩隻與晟, 請射取之. 晟馳往, 遇雕相玃, 遂一發雙貫焉. 攝圖喜, 命諸子弟貴人皆相親友, 冀昵近之, 以學彈射.] <북사(北史) 열전제십(列傳第十장손성전(長孫晟傳)

일전어[一轉語] 깨달음의 계기를 제공해 주는 한마디 번뜩이는 선어(禪語)를 말한다. 선승(禪僧)이 한 마디 말로 학인(學人), 또는 타인의 심기(心機)의 날끝[機鋒]을 발양(發揚)하여 바꾸어 주는, 상격(常格)을 벗어난 어구(語句)이다.

일전헌기공[一箭獻奇功] 단번에 고과(高科)에 발탁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일점영서[一點靈犀] 두 마음이 서로 비추어 통하는 것을 신령스러운 서각(犀角)이 서로 비추는 데 비유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17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295
4816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295
4815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296
4814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299
481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299
4812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301
4811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301
4810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302
4809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2307
4808 홍홍[泓泓]~홍화[弘化]~화각[畫角]~화간[禾竿]~화간[花間] 2308
4807 봉사[鳳社] ~ 봉산관[蓬山館] ~ 봉산장실[蓬山藏室] 2309
4806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30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