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임하풍[林下風] ~ 임학보객[林鶴報客] ~ 임화정[林和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22  

임하풍[林下風] () 나라 때 사안(謝安)의 질녀로서 뛰어난 여류 문인인 사도운(謝道韞)에 대하여 어떤 이가 평하기를 신정이 소산하고 명랑하여 임하의 풍기가 있다.[神情散朗 故有林下風氣]”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六>

임학보객[林鶴報客] 임학은 곧 송() 나라 때 은군자(隱君子)로 불리던 임포(林逋)의 학을 이른다. 임포가 고산(孤山)에 은거하면서 항상 두 마리의 학을 길렀는데, 임포가 항상 작은 배를 타고 서호(西湖)에서 노닐었으므로, 혹 손이 임포를 찾아올 경우, 동자(童子)가 학의 우리를 열어 주면 학들이 나가서 날므로 임포가 그것을 보고서 손이 온 것을 알고 집으로 돌아오곤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宋史 卷四百五十七>

임학지[林壑志] 숲속 산골에 은거하고픈 마음을 말한다.

임행인[林行人] 외교(外交)를 맡은 관명(官名)이다.

임헌시[臨軒試] 왕이 나와서 직접 보이는 시험을 말한다.

임화정[林和靖] 화정은 송() 나라 임포(林逋)의 시호. 성품이 담박하여 명리(名利)를 구하지 않고 처자도 없이 서호(西湖)에 은거한 지 20여 년 동안 한 번도 성시(城市)에 나오지 않았다. 서화와 시문에 능하였으며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는 것을 취미로 삼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매화는 그의 아내이고 학은 그의 아들이라 일컬었다. 그의 매화시(梅花詩)성긴 그림자는 맑고 얕은 물에 비치고, 그윽한 향기는 황혼의 달에 풍기누나.[踈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85 죽백[竹柏] ~ 죽부[竹符] ~ 죽사부[竹使符] 4248
4684 죽마고우[竹馬故友] ~ 죽마정경성[竹馬定傾城] ~ 죽반승[粥飯僧] 5791
4683 죽루[竹樓] ~ 죽림우[竹林友] ~ 죽림현[竹林賢] 6057
4682 죽궁[竹宮] ~ 죽궁망배[竹宮望拜] ~ 죽력의이[竹瀝薏苡] 3351
4681 죽각[竹閣] ~ 죽계육일[竹溪六逸] ~ 죽고[粥鼓] 5206
4680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760
4679 주후[肘後] ~ 주후결[肘後訣] ~ 주후관[柱後冠] 5678
4678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5761
4677 주협홀[拄頰笏] ~ 주호은악[周灝殷噩] ~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5781
4676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077
4675 주하사[柱下史] ~ 주하수[柱下叟] ~ 주해추[朱亥椎] 5602
4674 주택[周澤] ~ 주평만[朱泙漫] ~ 주필간시재[籌筆幹時材] 6041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