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53  

장수양[張睢陽] () 나라 때 장순(張巡)을 가리킨다. 장순이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면서 안녹산(安祿山)의 군대와 싸웠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장수유[莊叟柳] 장수는 곧 장주(莊周)를 말하는데, 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이 혹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장수유식[藏修游息] 장수는 항상 게을리함이 없이 학문을 수습(修習)하는 것을 말하고, 유식은 정과(正課) 이외의 휴식 시간에도 항상 학문에 마음을 두는 것을 말한다. <禮記 樂記>

장수충비[莊叟蟲臂] 장수는 곧 장주(莊周)를 가리키는데,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자래(子來)가 병이 들어 죽게 되자, 자려(子犁)가 문병가서 자래에게 말하기를 조화옹(造化翁)은 자네를 또 무엇으로 만들려는고? 자네를 장차 쥐의 간으로 만들려는가, 아니면 벌레의 팔로 만들려는가?’고 했다.” 한 데서 온 말로, 즉 만물의 타고난 형체가 아무리 미세한 것이라도 모두 제 역할이 있음을 의미한 말이다.

장숙야[張叔夜] 자는 계중(稽仲)이며 북송 개봉(開封 지금의 하남) 사람이다. 송사·장숙야열전(宋史張叔夜列傳)의 기록에 의하면, 장숙야가 다시 해주지사가 되었을 때 일찍이 계책을 세워 그 부적을 잡으면 송강은 곧 투항할 것이다.[擒其副賊, (宋江)乃降.]”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781 집집[湒湒] ~ 집편[執鞭] ~ 집편지사[執鞭之士] 3679
4780 집서세[執徐歲] ~ 집우이[執牛耳] ~ 집중우훈[執中虞訓] 3295
4779 집규[執珪] ~ 집금오[執金五] ~ 집불[執紼] 4199
4778 짐심[斟尋] ~ 집고사[集古辭] ~ 집구시[縶駒詩] 3574
4777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5874
4776 질어[叱馭] ~ 질어경험조[叱馭經險阻] ~ 질어심[叱馭心] 3604
4775 질발[叱撥] ~ 질상담[迭相擔] ~ 질석제형[叱石弟兄] 4168
4774 진효부[陳孝婦] ~ 진훤[陳暄] ~ 질도[郅都] 4396
4773 진황[秦皇] ~ 진회[秦灰] ~ 진효공[秦孝公] 3785
4772 진혜왕[秦惠王] ~ 진홍멱부처[眞汞覓夫妻] ~ 진화[陳澕] 4061
4771 진해제척공분분[秦奚齊戚空紛紛] ~ 진향원[진香院] ~ 진현례[陳玄禮] 3690
4770 진평[陳平] ~ 진평재육균[陳平宰肉均] ~ 진함불출가[陳咸不出家] 458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