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양왕[莊襄王] ~ 장어민[藏於民] ~ 장열[張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31  

장양왕[莊襄王] 기원전278에 태어나서 전247에 죽은 진나라의 왕이다. 영성(嬴姓)에 처음 이름은 이인(異人)이엇으나 후에 자초(子楚)로 바꾸었다. 효문왕의 서자로 소양왕(昭襄王) 때 조나라에 인질로 갔다가 대상인 여불위를 알게 되었다. 이인을 보고 투자하면 큰 이윽을 얻울 수 있겠다!’ 기화가거(奇貨可居)’라고 생각한 여불위가 진나라에 들어가 효문왕의 부인 화양부인에게 유세했다. 소생이 없었던 화양부인은 소양왕에게 청하여 이인을 불러들여 자신의 아들로 삼아 이름을 자초로 바꾸었다. 이윽고 소양왕이 죽고 효문왕이 진왕의 자리에 오르자 자초는 태자가 되었다. 그러나 효문왕이 상중에 죽자 곧바로 진왕의 자리에 올랐다. 장양왕이 재위에 오른 해는 기원전 249년이다. 장양왕은 여불위를 상국으로 삼고 문신후(文信侯)에 봉하고 10만 호의 낙양을 식읍으로 주었다. 대외적으로는 계속 동진정책을 취하여 몽오(蒙驁)를 시켜 한나라의 성고(成皐)와 형양(滎陽)을 점령하여 그곳에 삼천군(三川郡)을 설치했다. 삼천은 이수(伊水), 낙수(洛水), 하수(河水) 등의 하천을 말한다. 다시 조나라의 상당(上黨)의 여러 성과 유차(楡次) 일대의 37개 성을 점령하여 태원군(太原郡)을 설치했다. 계속해서 군사를 보내 위()나라를 침공했으나 위나라의 신릉군(信陵君)에 의해 결성된 5국 연합군에 의해 하외(河外)에서 크게 패하고 말았다. 재위 3년 만에 죽고 시호는 장양(莊襄)이다. 장지는 채양(茝陽)이다. 지금의 지양(芷陽)으로 섬서성 임동(臨潼) 서다.

장양헌부옹[長楊獻賦翁] 한나라의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장양부(長楊賦)라는 부를 지었다.

장어민[藏於民] 인정(仁政)을 하는 임금은 재물을 국고(國庫)에 저장하여 두는 것보다 백성이 잘 사는 그것이 곧 나라의 재물을 백성에게 저장하여 둠이 된다는 것이다.

장열[張說] 당 현종(唐玄宗) 때의 문장가이며 정치가. 벼슬이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고 연국공(燕國公)이 봉해졌다. 당시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칭해졌으며, 조정의 큰 편찬 사업이 거의 그의 손에서 이루어졌다. 저서에는 장열공집(張說公集)이 있다. <·舊唐書 張說傳>

 

 



번호 제     목 조회
5297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916
5296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5913
5295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910
5294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5909
5293 금성옥진[金聲玉振] ~ 금성척처[金聲擲處] ~ 금성탕지[金城湯池] 5884
5292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5881
5291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880
5290 주죽타[朱竹垞] ~ 주중선[酒中仙] ~ 주중인지개적[舟中人之皆敵] 5868
5289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5865
5288 봉상위녀섬[縫裳魏女攕] ~ 봉생마중불부직[蓬生麻中不扶直] ~ 봉선서[封禪書] 5864
5287 자지[紫芝] ~ 자지가[紫芝歌] ~ 자지곡[紫芝曲] 5855
5286 가[柯] ~ 가가문전[家家門前] ~ 가개화[可開花] 585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