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 장의[張儀] ~ 장이, 진여[張耳, 陳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29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전국 시대 제() 나라의 고사 노중련(魯仲連)이 조() 나라에 가 노닐 적에 조 나라 평원군(平原君)이 그에게 높은 관작을 봉해주려고 하였으나 끝내 사양하고 받지 않았던 사실을 가리킨다. <戰國策 趙策>

장응[張鷹] 갈바람이 일자 고향의 순채국·농어회가 생각이 나서 벼슬을 그만두고 오()로 돌아왔던 진()의 장한(張翰). 자가 계응(季鷹)이다. <晉書 卷92>

장의[張儀] 장의(張儀)는 전국(戰國) 시대 위()나라 사람. 유명한 변사(辯士)로서 6국을 유세(遊說)하여 진() 나라를 섬기게 하였다. 합종책(合縱策)으로 6국의 재상을 겸임했던 소진(蘇秦)과 함께 종횡가인 귀곡 선생(鬼谷先生)에게 종횡의 술책을 배웠다. 위나라의 재상으로 있다가 진()나라 혜문왕(惠文王)의 신임을 받아 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소진이 제()나라에서 살해되자 6국을 순방, 유세(遊說)하여 소진의 합종책을 깨고 연횡책(連橫策)을 성사시켜 6국으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진나라를 섬기게 하였다. 혜문왕이 죽은 후 참소(讒訴)를 당하여 위나라에서 객사(客死)한다.

장이, 진여[張耳, 陳餘] 장이와 진여는 원래 절친한 사이었다. 기원전 208년 장이와 조왕 헐()은 거록성에서 장한의 진나라 군사들에게 포위되어 위급하게 되었다. 이에 조나라 대장군으로 수 만의 조군을 이끌고 거록성 북쪽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진군의 세력이 너무 막강하여 당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조왕과 장이에 대한 구원을 주저하고 있었다. 장이는 장염과 진택을 보내어 진여를 비난했다. 이에 진여는 휘하의 군사 5천을 주어 진군의 세력을 시험하게 했으나 두 장수를 포함한 조군은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 후에 항우(項羽)에 의해 거록성에서 구원된 장이는 진여에게 자기를 구원하지 않았다고 추궁하며 두 장군을 진여가 죽인 것으로 의심했다. 진여가 사실대로 말했으나 장이는 믿지 않았다. 이에 진여는 노하여 장군의 인수를 장이에게 던져버리고 조군의 진영을 떠났다. 장이는 진여가 거느렸던 군사들을 거두어 자기의 휘하에 두었다. 두 사람은 이 일로 인하여 원수가 되었다.

장이[張弛] 팽팽하게 당기는 것과 늦추는 것. 성함과 쇠한다. 물이 밀렸다 나갔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주산자해[鑄山煮海] ~ 주생[周生] ~ 주선왕[周宣王] 5982
5308 죽루[竹樓] ~ 죽림우[竹林友] ~ 죽림현[竹林賢] 5974
5307 가도멸괵[假道滅虢] ~ 가도벽립[家徒壁立] ~ 가돈[家豚] 5968
5306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954
5305 용양[龍驤] ~ 용양군[龍陽君] ~ 용양목노[龍陽木奴] 5935
5304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5914
5303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914
5302 중선금[仲宣襟] ~ 중선루[仲宣樓] ~ 중성[中聖] 5901
5301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5900
5300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895
5299 자양벽파[紫陽劈破] ~ 자양옹[紫陽翁] ~ 자여[子輿] 5884
5298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588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