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29  

장전[張顚] () 나라 서예가 장욱(張旭)의 별호이다. 초서(草書)를 아주 잘 썼는데 술이 한껏 취하면 머리털에다 먹을 묻혀 미친 듯이 초서를 썼으므로 남들이 전장(顚張)이라 했다 한다. <唐書 卷二百二>

장전[帳殿] 왕이 궁궐을 나와 잠시 휴식할 때 휘장을 둘러쳐 만든 행궁(行宮)이다.

장전[杖錢] 장전은 곧 장두백전(杖頭百錢)의 준말로, () 나라 때 완수(阮脩)가 외출할 때면 언제나 지팡이 끝에다 백 전씩을 걸고 나가서 주점(酒店)에 이르러 혼자 즐기며 마셨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장전[張顚] ()은 미치광이란 뜻으로, 당 나라 때 서가인 장욱(張旭)의 이칭(異稱)이다. 장욱은 술을 매우 즐겨 항상 대취(大醉)되어 미친 듯이 떠들어대며 광주(狂走)하다가 곧 붓대를 잡고 글씨를 쓰면 신기한 작품이 나왔다고 한다.

장전[章殿] 한당(漢唐) 시절의 궁전 이름이다.

장전선[張錢選] () 나라 장작(張鷟)이 진사(進士)에 등제(登第)했을 때, 원외랑(員外郞) 원반천(員半千)이 여러 차례나 공경(公卿)의 면전에서 그의 문장은 마치 청동전(靑銅錢)과 같아서 한 편의 글마다 찬란한 색채를 발휘하니 만 번을 뽑아도 만 번 다 뽑힐 것[萬選萬中]이다.”라고 칭찬했던 고사가 있다. <新唐書 張鷟傳>

장전익[章全益] () 나라 때 장전익(章全益)이 어려서 고아가 되어 그의 형 전계(全啓)에게서 양육되었으므로, 그의 형이 죽자 참최(斬衰)를 입어서 그 은혜에 보답하였다. 그래서 당시에 그를 장 효자라고 칭했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829 천령[川寧] ~ 천록조청려[天祿照靑藜] ~ 천뢰[天籟] 2174
4828 천동[天童] ~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 천려일실[千慮一失] 2139
4827 천금라묵[千金螺墨] ~ 천금상여부[千金相如賦] ~ 천금학도룡[千金學屠龍] 2200
4826 천극중중간백전[栫棘重重看白戰] ~ 천근[天根] ~ 천금구광무군[千金購廣武君] 2758
4825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29
4824 천교목[遷喬木] ~ 천교쇄경핵[遷喬刷勁翮] ~ 천구영독윤[天球暎櫝潤] 2129
4823 천공전각[天公剪刻] ~ 천과[天戈] ~ 천광운영[天光雲影] 3724
4822 천경[天傾] ~ 천계[天雞] ~ 천고청불난[天高聽不難] 2498
4821 천개지열[天開地裂] ~ 천거과[薦擧科] ~ 천견고사진월행[天遣孤楂趁月行] 2319
4820 척촌지효[尺寸知效] ~ 척확신[尺蠖伸] ~ 천가수[天假手] 2264
4819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36
4818 척오[尺五] ~ 척이[跅弛] ~ 척전과신라[隻箭過新羅] 269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