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미[麈尾] ~ 주방[肘方] ~ 주보언[主父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34  

주미[麈尾] 고라니의 꼬리털로 만든 먼지떨이. 육조(六朝) 시대에 명사들이 청담(淸談)을 나눌 적에는 주미를 손에 들고 휘두르며 이야기를 하였다 한다.

주미[酒謎] 술에 대한 은어(隱語)이다.

주미[麈尾] 주미는 고라니 꼬리로 만든 불자(拂子), 위진(魏晉) 시대 때 청담을 즐기던 사람들이 많이 가지고 다녔으며, 나중에는 선종(禪宗)의 승려들도 애용하였다.

주방[肘方] 주방(肘方)은 시해(尸解)의 현상을 보이며 신선이 되어 떠났다는 진() 나라 갈홍(葛洪)이 지은 의서(醫書) 주후요급방(肘後要急方)의 준말로, 선방(仙方) 혹은 선도(仙道)를 비유할 때 쓰는 말이다. <晉書 卷72 葛洪傳>

주백아려[主伯亞旅] 한 집안의 주인과 하인 각각의 등급의 사람을 비유한다.

주번[朱轓] 중국 고대에는 군수(郡守)가 수레에 붉은 깃발을 달았던 것이다.

주보[主父] 주보언(主父偃)을 말한다. 제나라 임치(臨淄) 사람으로 한무제(漢武帝) 때 중대부의 벼슬을 지내다 제후왕들의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그 봉지를 여러 형제들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추은령(推恩令)을 건의하여 시행하게 했다. 후에 자기의 딸을 제려왕(厲王)에게 시집보내려고 했다가 거절당하자 려왕이 자기의 누이와 간통한 사실을 밝혀내고 그 사실을 한무제에게 고하여 려왕으로 하여금 자살하도록 만들었다.

주보언[主父偃]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126년에 죽은 서한(西漢) 때의 대신이다. 성은 주보이고 이름은 언이다. 지금의 산동성 치박시(淄博市) 동북의 임치(臨淄) 인이다. 종횡설, 주역, 춘추 및 백가의 학술에 밝았다. 어렸을 때 집안이 가난하여 고향을 떠나 장안으로 들어갔다. 그는 장안에서 위청(衛靑)의 천거를 받아 무제에 의해 낭중의 벼슬을 얻었다. 다시 알자(謁者)로 옮기고 후에 중대부(中大夫)가 되었다. 그가 관직에 있을 때 제후들의 세력을 약화시켜야 한다고 건의하자 무제는 그 의견을 쫓아 추은령(推恩令)이라는 조서를 내려 제후들로 하여금 그 자제들에게 소유의 봉지를 나누어 후로 봉하도록 했다. 그 후로 강력한 지방 제후국들은 분열되어 세력이 약화되었다. 기원전 127년에 한나라의 승상이 되자 제왕을 협박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제후들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로 하옥되어 멸족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817 척안[隻眼] ~ 척안곤붕등유희[斥鷃鵾鵬等遊戱] ~ 척안하증선대붕[斥鷃何曾羨大鵬] 3129
4816 척리도환[隻履徒還] ~ 척벽비보[尺璧非寶] ~ 척사욕[擲梭辱] 2682
4815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295
4814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38
4813 책책[嘖嘖]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 처성자옥[妻城子獄] 2388
4812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2329
4811 책객[冊客] ~ 책기지심[責己之心] ~ 책비[責備] 3007
4810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 ~ 채화지[採華芝] 2316
4809 채택[蔡澤] ~ 채팽윤[蔡彭胤] ~ 채필무공[彩筆無功] 2541
4808 채익[彩鷁] ~ 채주소역[蔡疇邵易] ~ 채중랑[蔡中郞] 2165
4807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 채원정[蔡元定] ~ 채의환[彩衣歡] 2653
4806 채승[彩勝] ~ 채시관[采詩官] ~ 채약동남[採藥童男] 3307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