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수[晝繡] ~ 주수수구[走獸首丘] ~ 주시응적[周詩膺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027  

주수[晝繡] 주금(晝錦)과 같은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가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주수명송[周受命頌] () 나라의 수명송(受命頌). 당 고종(唐高宗)의 후비(后妃)인 측천 무후(則天武后)가 예종(睿宗)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라 국호를 주()라 참칭했는데, 이때 진자앙(陳子昻)이 주 나라가 천명(天命)을 받았다는 내용과 송()을 지었다.

주수수구[走獸首丘] 회남자(淮南子) 설림(說林)새는 날아 고향으로 돌아가고, 토끼는 뛰어 굴로 돌아가며, 여우는 죽을 때 언덕으로 머리 둔다.[狐死首丘]”고 하였다.

주숙진[朱淑眞] () 나라 때의 여류 시인으로서 학식이 뛰어났으나, 불행히 시정(市井)의 민가(民家)에 시집을 가서 뜻을 얻지 못해 우울함 속에서 특히 우원(憂怨)의 시를 많이 읊었다 한다.

주승[朱勝] ()은 수식(首飾)인데 맨드라미꽃이 붉으므로 한 말이다.

주시[周詩]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崧高)를 말한다.

주시응적[周詩膺狄] 시경(詩經) 노송(魯頌)의 비궁(閟宮)을 가리킨다. 비궁은 천자가 군대를 출동하여 융적을 정벌하는 것을 읊은 시로, 그 시에 융적을 이에 막으며, 형서를 이에 징계하도다.[戎狄是膺 荊舒是懲]”라고 하였다.

주시풍아[周詩風雅] 주시는 시경(詩經)이며, 풍은 국풍(國風)이고, 아는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61 치아요사[癡兒了事] ~ 치애[癡獃] ~ 치연[癡掾] ~ 치예[雉鷖] 2846
4960 치수[錙銖] ~ 치수화[錙銖火] ~ 치순[雉馴] ~ 치승[癡蠅] 2763
4959 치사분지[治絲棼之] ~ 치생입막[郗生入幕] ~ 치소[緇素] 2611
4958 치모팽아[癡姥烹鵝] ~ 치민[淄澠] ~ 치빙노씨계[馳騁老氏戒] 2771
4957 치랍[梔蠟] ~ 치롱작옹[癡聾作翁] ~ 치룡[癡龍] ~ 치린[緇磷] 3162
4956 치국여선[治國如鮮] ~ 치도[馳道] ~ 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2491
4955 치각관[豸角冠] ~ 치경조벽잡[幟驚趙壁匝] ~ 치구예함[鴟龜曳銜] 2952
4954 측조[側調] ~ 측천[則天] ~ 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2341
4953 취화[翠華] ~ 취화춘[翠華春] ~ 측은지심인지단야[惻隱之心仁之端也] 2691
4952 취향[醉鄕] ~ 취향후[醉鄕侯] ~ 취혼초부득[醉魂招不得] 3246
4951 취전[聚羶] ~ 취처생자[娶妻生子] ~ 취탈화[醉脫靴] ~ 취포[吹布] 2467
4950 총마계축[驄馬契軸] ~ 총마어사[驄馬御使] ~ 총부[冢婦] 276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