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54  

주옥[珠玉] 주옥은 남의 시문(詩文)을 높여 일컫는 말이다.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시문(詩文) 등이 일시(一時)를 풍미하는 것을 비유한 말로 발[]이 없이도 잘 유행한다는 뜻이다. 열자(列子)()는 다리가 없어도 다니고, ()은 날개가 없어도 난다.”고 하였다.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주옹은 한() 나라 주매신(朱買臣)의 자()가 옹자(翁子)였으므로 그를 가리키며, 주금(晝錦)은 비단옷을 입고 낮에 다닌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말한다. 매신은 집이 무척 가난했으나 책 읽기를 좋아했었는데 뒤에 엄조(嚴助)의 추천으로 태중대부(太中大夫)가 되었다. 무제(武帝)는 그를 그의 고향인 회계 태수(會稽太守)에 임명하고는 부귀하고 고향에 돌아가지 않으면 비단 옷을 입고 밤에 다니는 것과 같아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는 옛말을 인용한 데서 나온 것이다. <漢書 朱買臣傳>

주왕[周王] 팔준마(八駿馬)를 타고 천하를 유력했던 주 목왕(周穆王)을 말한다.

주왕부결[周王俯結] 주 나라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이 각각 전쟁을 하던 중 대님이 풀렸을 때에 모두 다른 사람을 시키지 않고 자신이 친히 몸을 구부리고 대님을 맸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주왕(周王)은 주() 나라 문왕(文王)을 말한다. 문왕은 사냥을 나가는데 점을 쳐보니 짐승을 얻는 것이 아니라 훌륭한 보필(輔弼)을 얻는다.” 하였다. 이때 강 태공(姜太公)은 나이가 80이 넘어 위수(渭水)에서 낚시질로 세월을 보내고 있었는데, 마침내 만나 스승으로 삼고 통일 천하의 꿈을 이룩하였다. <史記 卷四 周本紀, 卷三十二 太公世家>

주왕연호[周王宴鎬] ()는 주() 나라의 서울이다. 주 나라 선왕(宣王) 때에 흉노(匈奴)족을 정벌하여 성공하고 돌아온 장병들에게 큰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였다.

주왕팔준구[周王八駿驅] 팔준마는 춘추 시대 주목왕(周穆王)이 타던 여덟 필의 준마. 주 목왕이 이 팔준마를 어거하고 서쪽으로 순수(巡狩)하여 곤륜산(崑崙山)에 올라가 선녀(仙女)인 서왕모(西王母)를 보고는 즐거워서 돌아갈 것을 잊었다는 고사가 있다. <史記 卷五 秦本紀注>

 

 



번호 제     목 조회
4745 무사[蕪史] ~ 무사시폐훈[無邪詩蔽訓] ~ 무사주시[無邪周詩] 2421
4744 병사[甁史] ~ 병사지야[兵死之也] ~ 병상여[病相如] 2421
4743 화벽[和璧]~화병[畫餠]~화보[花譜]~화복동문[禍福同門]~화복무문[禍福無門] 2422
4742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423
4741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2425
4740 청필[淸蹕] ~ 청필삼성[淸蹕三聲] ~ 청한자[淸寒子] 2428
4739 복백[復魄] ~ 복비[宓妃] ~ 복비죄[服誹罪] 2432
4738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32
4737 녹마불변[鹿馬不辨] ~ 녹마전대[鹿馬專對] ~ 녹명시[鹿鳴詩] 2433
4736 농수[隴水] ~ 농승[聾丞] ~ 농암집[農巖集] 2434
4735 상림일지[上林一枝] ~ 상림차일지[上林借一枝] ~ 상림축[桑林祝] 2434
4734 요편[瑤編] ~ 요포[瑤圃] ~ 요하[么荷] 243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