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장함하양잠려[珠藏頷下養潛驪] ~ 주저[朱邸] ~ 주전학[州錢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53  

주장산[晝長山] 주장산은 남한산(南漢山)의 고호인데, 신라 문무왕(文武王)이 백제를 내쫓고 이곳에 맨 처음 산성(山城)을 쌓았던 것이다.

주장함하양잠려[珠藏頷下養潛驪] 숨어서 덕을 닦으며 때를 기다림을 비유한 말이다. 흑룡(黑龍)은 턱 밑에 여의주(如意珠)를 기른다 한다. 장자(莊子) 열어구(列禦寇)천금의 여의주는 반드시 깊은 못 긴 여룡(驪龍)의 턱 밑에 있다.”고 하였다.

주저[躊躇] 머뭇대며 떠나지 않는 모양.

주저[洲渚] 물섬가.

주저[朱邸] 주문(朱門)과 같다. 대문을 붉게 칠한 집으로, 황족이나 귀관(貴官)의 저택을 가리킨다. () 나라 때 그 집의 대문을 주홍색으로 칠했던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주전[廚傳] 음식(飮食)과 역사(驛舍)를 이르는데, 한 선제(漢宣帝) 원강(元康) 2년의 조서(詔書)간혹 지방 관리가 제멋대로 요역(繇役)을 일으켜 주전을 잘 꾸며서 과객(過客)들을 후히 대접하고 있는데, 이것은 직무를 초월하고 국법을 벗어나서 명예를 취하는 일이다.”라고 경계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八>

주전경명[周典冏命] 경명(冏命)은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편명으로, () 나라 목왕(穆王)이 백경(伯冏)을 태복정(太僕正)에 임명하면서 내린 조서(詔書)이다.

주전학[州錢鶴] () 나라 은운(殷芸)이 지은 소설에 나온 이야기로, 함께 어울려 노는 자들이 각자 소원을 말하기로 했는데, 한 사람은 양주(揚州) 자사가 되고 싶다 하고, 한 사람은 돈이 많으면 좋겠다 하고, 한 사람은 학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고 싶다고 하자, 다른 사람이 나는 허리에 돈 10만 냥을 차고 학을 타고 양주로 가고 싶다.”고 하였다 한다. 인간 욕심의 지나침과 그것을 다 채울 수는 없음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73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128
4972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1958
4971 칠귀[七鬼] ~ 칠귀[七貴] ~ 칠난감[七難堪] ~ 칠덕가[七德歌] ~ 칠도신[漆塗身] 1743
4970 칠관[七款] ~ 칠교[七校] ~ 칠국[七國]] 1744
4969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084
4968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1817
4967 치황[緇黃] ~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 ~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 1719
4966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2033
4965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1822
4964 치인설몽[痴人說夢] ~ 치자환주[癡子還珠] ~ 치장[植杖] 1753
4963 치의[緇衣] ~ 치이자[鴟夷子] ~ 치이자피[鴟夷子皮] 3937
4962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59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