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협홀[拄頰笏] ~ 주호은악[周灝殷噩] ~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773  

주협홀[拄頰笏] () 나라 때 왕휘지(王徽之)가 환충(桓沖)의 기병 참군(騎兵參軍)으로 있을 적에 환충이 왕휘지에게 요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느냐고 묻자, 그는 애당초 대답은 하지 않고 곧바로 산을 쳐다보면서 홀()로 뺨을 고이면서 말하기를 서산(西山)에 아침이 되면 상쾌한 기운이 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주호[珠戶] 진주(眞珠)를 채취하는 백성들을 말한다.

주호은악[周灝殷噩] 법언(法言) 문신(問神)상서는 넓고 평탄하며, 주서는 명백하고 곧다.[商書爾 周書爾]”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홀[拄笏] () 나라 왕휘지(王徽之)가 환충(桓沖)의 참군(參軍)으로 있을 때 환충이 그에게 요즘 무슨 직무를 보았느냐고 묻자, ()을 턱에 괴고 말하기를 서산(西山)에 아침이 찾아오면 상쾌한 기운이 감돈다.”고 대답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관직에 있는 몸으로서 여유롭고 청아한 정취가 있는 것을 말한다. <世說新語 簡傲>

주홀[拄笏] 청고(淸高)한 관리의 기풍을 말한다. 진서(晉書) 왕희지전(王徽之傳)환충(桓沖)이 왕휘지에게 경이 오래 부중(府中)에 있더니 요즈음에는 일을 잘한다.’하니 왕휘지가 처음에는 아무 대꾸도 하지 않고 올려다보기만 하다가 홀()로 턱을 괴며 아침에 서산(西山)에서 오니 시원한 기운이 있더라.’고 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관사(官事)에 구애되지 않고 자연을 즐길 줄 아는 청고한 관리의 한가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 나라 왕자유(王子猷)가 환온(桓溫)의 참군(參軍)이 되었을 때, 환온이 경은 부()에 오래도록 있었으니 일을 잘 처리할 줄로 믿는다.”고 하니, 자유가 업무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수판(手板) 즉 홀()을 턱에 괴고는 서산의 아침 기운이 삽상하다.[西山朝來 致有爽氣]”고 응대한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簡傲>

주홀의[柱笏意] () 나라 때 왕휘지(王徽之)는 성품이 몹시 호방하여 구애되는 바가 없었다. 일찍이 거기장군(車騎將軍) 환충(桓沖)의 참군(參軍)이 되었을 적에 정무를 처리하지 않고 있었는데, 환충이 이에 대해 말하자, 왕휘지는 그에 대한 대답은 하지 않은 채 두 눈을 들어 먼 곳을 바라보다가, 턱에 홀을 괴고 말하기를 서산(西山)에 새벽이 오니 기운이 맑고 상쾌하다.”고 하였다. <世說新語 簡傲>

 

 



번호 제     목 조회
4745 육통[六通] ~ 육평천[陸平泉] 4774
4744 제하분주[濟河焚舟] ~ 제향[帝鄕] 4771
4743 조어산성[釣魚山城] ~ 조여[曺蜍] 4770
4742 인생감의기[人生感意氣] ~ 인생비청송[人生非靑松] 4769
4741 쌍배[雙排] ~ 쌍비[雙碑] 4769
4740 정협[鄭俠] ~ 정혜해당[定惠海棠] 4768
4739 걸래벽해경어수[朅來碧海鯨魚手] ~ 걸신[乞身] 4768
4738 의마[倚麻] ~ 의마심원[意馬心猿] ~ 의마재[倚馬才] 4768
4737 평봉[萍蓬] ~ 평실[萍實] 4767
4736 걸아긍향화[乞兒矜向火] ~ 걸인연천[乞人憐天] 4767
4735 팔선[八仙] ~ 팔십일번난[八十一番難] 4765
4734 인지우차[麟趾于嗟] ~ 인지장사기언야선[人之將死其言也善] ~ 인천[人天] 476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