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723  

주후방[肘後方] 의서(醫書)의 이름이다.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는 편작(扁鵲)의 주후방 권과 갈홍(葛洪)의 주후방 6권을 실었고, 당서(唐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유황(劉貺)의 주후방 3권을 기록하였는데, 모두 신선이 되는 비방(祕方)이라 한다.

주후방[肘後方]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의 준말로, () 나라 갈홍(葛洪)이 지은 의서(醫書)이다.

주후혜문[柱後惠文] 법관(法官)과 무관(武官)이 쓰는 모자이다. 장창(張敞)의 동생 장무(張武)가 양국(梁國)의 상()으로 나가면서 양국은 대도(大都)로서 이민(吏民)이 조폐(凋敝)한 상태이니, 마땅히 주후혜문(柱後惠文)으로 탄치(彈治)해야 한다.”고 말하자, 장창이 이를 듣고서 웃으며 안심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張敞傳>

주후혜문관[柱後惠文冠] 옛날 법관(法官)이 쓰던 관이다.

주휘[麈麾] 일명 주미(麈尾)라고도 하는데, 가늘고 기다란 나무 끝에 사슴의 꼬리털을 달아 부채 비슷하게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먼지떨이·파리채로 썼으나 뒤에는 불도(佛徒)들의 위의를 정돈하는 기구가 되었다.

주휘[朱暉] 후한 명제(後漢明帝) 때 남양(南陽) 원현(宛縣) 사람으로 자는 문계(文季)이다. 임회태수(臨淮太守)로 있으면서 정사를 잘하여 그곳 관리와 백성들이 존경하고 사랑한 나머지 노래를 지어 부르기를 강직으로 이룬 사람 남양 땅의 주계로세, 관리 위엄 존경하고 백성 은혜 기린다네.[彊直自遂 南陽朱季 吏畏其威 人懷其惠]”라고 하였다 한다. 주계라고 한 것은 그의 자가 문계이기 때문이다. <後漢書 卷四十三 朱暉傳>

 

 



번호 제     목 조회
4865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80
4864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182
4863 화전[花甎]~화전부진[火傳不盡]~화전유염[華牋濡染]~화접시[化蝶翅]~화접유룡[化蝶猶龍] 2182
4862 아박수[兒拍手] ~ 아배각[兒輩覺] ~ 아부[餓夫] 2183
4861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183
4860 요관[嶢關] ~ 요굴[要屈] ~ 요극차수봉[䙅襋且誰縫] 2185
4859 용강[龍岡] ~ 용강상산고가람[龍江上山古伽藍] ~ 용개고문[容蓋高門] 2188
4858 천은망극[天恩罔極] ~ 천응증아달[天應憎我達] ~ 천의무봉[天衣無縫] 2189
4857 파과지년[破瓜之年]~파교풍설[灞橋風雪]~파교행음[灞橋行吟] 2189
4856 봉의[縫衣] ~ 봉인[封人] ~ 봉입금지교[鳳入禁池翹] 2191
4855 인거희[人去稀] ~ 인경등여두[藺卿膽如斗] ~ 인공자취서계[引公子就西階] 2193
4854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19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