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규조조개자기[衆竅調刁皆自己] ~ 중규지조조[衆竅之刁刁] ~중금[重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15  

중규[中逵] 아홉 갈래로 통하는 길. 익주부자묘비 원문에는 중계(中階)”라고 하였다.

중규조조개자기[衆竅調刁皆自己] 각종 다양한 바람 소리는 바람이 스쳐 지나가는 구멍의 다양한 형태에서 비롯되는 것이지 원래 바람 자체가 틀려서 그런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맹렬한 바람이 일단 지나가고 나면 뭇 구멍이 다시 텅 비게 되는데, 그대는 그때에 나뭇가지와 잎사귀가 아직도 간들거리는 모습을 유독 보지 못하였느냐.[厲風濟則衆竅爲虛 而獨不見之調調之刁刁乎]”하였고, 하늘의 피리 소리라고 하는 것은 바람이 불어올 때 다양하게 반응하며 소리를 내는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자기가 원인이 되어 스스로 자초하는 것들이니, 어떤 존재가 따로 있어 그렇게 하도록 발동시키는 것이겠는가.[夫天籟者吹萬不同 而使其自己也 咸其自取 怒者其誰邪]”하였다.

중규지조조[衆竅之刁刁] 장자 제물론 제이에 모진 바람이 그치면 모든 구멍이 텅 빈 듯하나 그대는 산들거리고 휙휙거리는 바람소리를 모르는가?”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인간만사는 모든 물체에 부딪쳐 발하는 바람 소리처럼 천태만상이 있으나, 그 본래는 고요한 데서 발단하였다는 것이다.

중금[重金] 금대(金帶)에 패어(佩魚)까지 차는 고관의 복식(服飾)을 말한다.

중금[中金] ()의 별칭으로 백금(白金)이라고도 한다.

중기[衆氣] 조하, 정양 항해 등 여러 천지의 기이다.

중녀괘[中女卦] 팔괘(八卦) 중의 이괘(離卦)를 말한다.

중농주의[重農主義] 국가의 부의 기초는 농업에 있다는 경제 사상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649 사직[司直] ~ 사직지신[社稷之臣] ~ 사진당유조장군[寫眞儻有曹將軍] 2505
4648 엄자산[崦嵫山] ~ 엄중굉변[淹中宏辯] ~ 엄중적[淹中籍] 2505
4647 당망[曭莽] ~ 당무백도아[堂無伯道兒] ~ 당반환제마[唐班煥制麻] 2507
4646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08
4645 양미[揚眉] ~ 양반아[楊叛兒] ~ 양방사[兩牓士] 2508
4644 당금지지[當禁之地] ~ 당도[當道] ~ 당도[唐都] 2509
4643 병경치뢰[甁罄恥罍] ~ 병두국[幷頭菊] ~ 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2509
4642 비백[飛白] ~ 비봉[批鳳] ~ 비비[非非] 2509
4641 창업수성[創業守成] ~ 창여창구백여의[蒼如蒼狗白如衣] ~ 창오제[蒼梧帝] 2509
4640 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 ~ 아군환서[鵝群換書] ~ 아금[牙琴] 2510
4639 무성취[無聲臭] ~ 무성현단[武城絃斷] ~ 무수지정[舞獸之庭] 2513
4638 방편[方便] ~ 방향[方響] ~ 방현로[妨賢路] 251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