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루점괴후[中壘占乖候] ~ 중류격즙[中流擊楫] ~ 중묘[衆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83  

중루점괴후[中壘占乖候] 중루는 한대(漢代)에 집금오(執金吾)의 속관(屬官)인 관명(官名)으로, 유중루는 곧 중루교위(中壘校尉)를 지낸 유향(劉向)을 가리키며 괴후(乖候)는 곧 괴이(乖異)한 징후라는 뜻으로 유향이 일찍이 상고(上古) 이래 역대에 걸쳐 부서(符瑞)와 재이(災異)에 대한 기록을 모아서 그 행사(行事)를 추적(追跡)하여 점험(占驗)을 나타냈는데 이것이 바로 홍범오행전론(洪範五行傳論)이다. <漢書 卷三十六>

중류격즙[中流擊楫] () 조적(狙逖)이 원제(元帝)에게 청하여 군사를 통합해서 북벌(北伐)할 때 양자강을 건너며 돛대를 치면서 맹세하기를 중원을 밝히지 못하고 다시 건너면 이 강과 같으리라.”고 했다. 드디어 그가 석륵(石勒)을 격파하고 황하 이남의 땅을 회복했다.

중류격즙[中流擊楫] 진서(晉書) 조적전(祖逖傳)예주 자사(豫州刺史) 조적(祖逖)은 유사(流徙) 부곡(部曲) 백여 가호를 거느리고 강을 건너다가 중류에서 돛대를 치며 맹세하기를 내가 중원(中原)을 깨끗이 소탕하지 못한다면 이 강을 다시 건너지 않겠다.’고 하여 기상이 장렬하니, 사람들이 모두 감탄했다.”라고 하였다.

중류공석위산하[中流空惜魏山河] 전국 시대에 위 무후(魏武侯)가 하수(河水)에서 배를 타고 내려 가다가 중류(中流)에서 좌우의 산천을 돌아보고 산천이 장()하구나 이것은 위국(魏國)의 보배로다.”라고 하니, 오기(吳起)가 대답하기를 국가가 오래 가는 것은 덕()에 있는 것이요, 산천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중맹유상[衆盲喩象] 코끼리를 불성(佛性)에 비유하고 소경을 무명(無明)의 중생에 비유하여 중맹상(衆盲象)의 지체(肢體)를 더듬어서 여러 가지를 풀이해주는 것을 말한 것이다.

중묘[衆妙] 오만 가지 묘리(妙理)로서 즉 도()를 의미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21 선리운손[仙李雲孫] ~ 선림[禪林] ~ 선말[仙襪] 2448
4720 어이기상사[魚以寄相思] ~ 어이명[御李名] ~ 어인쌍획[漁人雙獲] 2448
4719 초거[軺車] ~ 초경양왕[楚頃襄王] ~ 초계탕천[焦溪湯泉] 2450
4718 동우인[桐偶人] ~ 동원[東園] ~ 동원기[東園器] 2451
4717 문초췌[問憔悴] ~ 문총[文塚] ~ 문파[文波] 2451
4716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53
4715 양자루[羊子淚] ~ 양자운[揚子雲] ~ 양자저서공자부[揚子著書空自負] 2454
4714 역룡지린[逆龍之鱗] ~ 역린[逆鱗] ~ 역명[力命] 2457
4713 외교[外敎] ~ 외도[畏途] ~ 외부모[外父母] 2458
4712 이용[利用] ~ 이우나포슬[犛牛那捕虱] ~ 이우북당[伊優北堂] 2460
4711 초현객[草玄客] ~ 초현축대[招賢築臺] ~ 초혼초미귀[楚魂招未歸] 2460
4710 이사구[二寺狗] ~ 이사부[異斯夫] ~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246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