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22  

중상모략[中傷謀略] 상대방의 속이 상하도록 하는 갖은 꾀와 책략. 권모술수가 상대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타격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중상모략은 주로 상대의 명예를 손상시켜 정신적으로 충격을 입히고자 하는 것이다

중상서[中尙書] 한무제가 설치한 환관을 위한 관직명으로 상서의 우두머리다. 진한 때 대부분의 환관은 관직을 겸임했기 때문에 환관 출신의 관리에 중() 자를 더하여 중관이라 칭하고 상서(尙書)의 직을 맡도록 했다. 원래 상서는 전국시대 때부터 봉건제후들의 문서수납을 맡아 하던 직책이었다가 진나라가 소부에 속하게 하고 그 우두머리에 상서령을 두어 상주문들을 수발하고 관리토록 했다. 한나라도 진나라의 제도를 답습하다가 한무제 때에 이르러 승상의 업무에서 떼어내 환관을 중상서에 임명하고 황제의 측근에서 도서, 비밀스러운 문서, 상주문이나 황명을 내외에 선포하는 일을 관장했다.

중상지기[仲翔知己] 중상은 삼국 시대 오() 나라 우번(虞翻)의 자()인데, 그가 강직하게 감히 바른 소리를 하다가 조정에서 쫓겨난 뒤에 나의 골상(骨相)이 원래 아첨을 떨지 못하게 되어 있다.[骨體不媚]”고 한탄하면서, “천하에 한 사람이라도 알아주는 사람이 있으면 여한이 없겠다.[使天下一人知己者 足以不恨]”고 했던 고사가 전한다. <三國志 卷57 吳書 虞翻傳>

중서[中書] 대궐의 문서와 조칙 등을 맡아본 한대(漢代)의 관직 이름으로, 승지(承旨)를 뜻한다.

중서[中書] 붓의 이칭(異稱)이다. 한유(韓愈)의 모영전(毛穎傳)모영이 여러 차례 중서령(中書令)에 제수되어 상()과 더욱 친하게 지내자, 상이 일찍이 중서군(中書君)이라고 불렀다.”고 하였다.

중서군[中書君] []의 별칭인데, 특히 토끼털로 만든 붓을 말한다.

중서삼책[仲舒三策] 한 무제(漢武帝) 때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가 현량으로 올린 대책(對策)을 말한다. 무제 초기에 현량과(賢良科)의 대책(對策)을 왕명에 의해 연거푸 세 번 올리고 바로 강도상(江都相)에 임명되었다. 그 대책이 3조항으로 되었기 때문에 3책이라 한다. <漢書 卷五十六 董仲舒傳>

 

 



번호 제     목 조회
4901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303
4900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37
4899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37
4898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90
4897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2031
4896 청유막[靑油幕] ~ 청음경노학지시[淸音警露鶴知時] ~ 청의주[靑衣主] 2110
4895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092
4894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26
4893 청열석[淸裂石] ~ 청영계남월[請纓繫南越] ~ 청오술[靑烏術] 1938
48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48
4891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233
4890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08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