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울거[仲蔚居] ~ 중원록[中原鹿] ~ 중유재[仲由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78  

중울거[仲蔚居] 사람 키를 넘을 정도로 쑥대가 우거져 있으리라는 말이다. 후한(後漢) 장중울(張仲蔚)이 쑥대가 우거진 집에 몸을 숨기고 가난하게 살면서 수양했던 고사가 있다. <高士傳 中 張仲蔚>

중원[中元] 백중절(百中節)인 음력 715일을 가리킨다.

중원[中原] 충주(忠州)의 옛 이름이다.

중원록[中原鹿] ()나라 간신(姦臣) 조고(趙高)가 임금에게 사슴을 몰고 와서 말[]이라 속였다. 그 뒤에 변사(辯士) 괴철(蒯徹)진나라가 사슴을 놓쳤으매 여러 사람들이 쫓는데 발이 날랜 자가 먼저 얻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조고(趙高)의 사슴에 관한 이야기를 인용하여 진나라가 나라를 잃은 데에 비유하였다.

중원축록[中原逐鹿] 중원(中原)은 중국(中國) 또는 천하(天下)를 말하며 축록(逐鹿)은 한 마리 사슴을 잡으려고 서로 경쟁한다는 말로 영웅들이 서로 다투어 제왕의 자리나 어떤 지위를 얻고자 함을 뜻한다.

중위[中尉] 전국 때 조나라가 처음 설치한 관직 이름이다. 인재를 발굴하여 천거하는 일을 맡았다. ()나라 때 구경(九卿)의 하나가 되었다가 한나라가 이어받았다.

중유[仲由] 중유(仲由)의 자는 자로(子路)인데 공자의 제자이다. 중유는 경솔한 한편 충직하였다.

중유재[仲由材] 중유는 공자(孔子)의 제자로 자()는 자로(子路), 취재는 취할 만한 재질을 말한다. 공자는 내가 뗏목을 타고 바다로 가려고 하는데 나를 따를 자는 중유일 것이다.” 하였다. 자로는 이 말을 듣고 기뻐하자, 공자는 중유는 용맹을 좋아하는 것은 나보다 낫지만 취재할 것이 없다.” 하였다. <論語 公冶長>

 

 



번호 제     목 조회
4733 복백[復魄] ~ 복비[宓妃] ~ 복비죄[服誹罪] 2421
4732 초거[軺車] ~ 초경양왕[楚頃襄王] ~ 초계탕천[焦溪湯泉] 2424
4731 이금[泥金] ~ 이금오[李金吾] ~ 이기[李寄] 2425
4730 농수[隴水] ~ 농승[聾丞] ~ 농암집[農巖集] 2426
4729 상림일지[上林一枝] ~ 상림차일지[上林借一枝] ~ 상림축[桑林祝] 2426
4728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26
4727 사도[師道] ~ 사도운[謝道韞] ~ 사돈팔촌[査頓八寸] 2427
4726 요편[瑤編] ~ 요포[瑤圃] ~ 요하[么荷] 2427
4725 초자불성무협몽[楚子不成巫峽夢]~ 초장록[蕉藏鹿] ~ 초재진용[楚材晉用] 2427
4724 일성편[日省編] ~ 일세구천[一歲九遷] ~ 일소[逸少] 2428
4723 녹옥수[綠玉樹] ~ 녹운의[綠雲衣] ~ 녹위이추[鹿危而趨] 2431
4722 녹야별업[綠野別業] ~ 녹야장[綠野庄] ~ 녹엽성음[綠葉成陰] 243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